[길섶에서] 복달임 팥죽/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복달임 팥죽/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3-08-02 00:00
업데이트 2013-08-02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죽집을 지나다가 이맘때 솥단지에서 팔팔 끓인 팥죽을 먹었던 기억이 떠올랐다. 지인들에게 “왜 한여름에 뜨거운 기운의 팥죽을 먹었을까”라고 물었지만 제대로 아는 이가 없다. 어린 때라 달콤한 팥죽 한 그릇을 ‘마파람에 게눈 감추듯’ 후딱 먹어치웠던 기억만 있다. 한여름 팥죽에 깃든 깊은 뜻은 모른 채···. 알고 보니 팥죽을 동짓날뿐 아니라 ‘복죽’이라 하여 삼복에도 즐겨 먹던 보양식이다. 몸의 피로를 풀고 약해진 소화기능을 보강해 준다고 한다. 동의보감에는 소갈증과 설사에 효험이 있다는 기록이 있다. 궁중에선 복날에 팥죽을 쑤어 먹었다고 전한다. ‘복날 죽을 쑤어 먹으면 논이 생긴다’는 속설도 기(氣)를 보강하는 뜻일 게다. 팥죽을 겨울과 여름철 보신음식으로 삼은 선조의 지혜가 읽힌다.

올해는 중복과 말복의 간격이 10일이 아니라 20일 차가 난다. 달을 건너뛴다 해서 이를 ‘월복’(越伏)이라 부른다. 말복이 10여일 더 남은 셈이다. 복날 삼계탕집 앞에서 줄 설 게 아니라, 죽집에 들러 팥죽 한 그릇 후루룩 해치우는 것도 몸을 추스르는 방법이겠다 싶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08-02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