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김치의 중국어 만들기/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의 언파만파] 김치의 중국어 만들기/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9-12 17:54
업데이트 2021-09-13 08: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에선 김치를 ‘한궈 파오차이’(韓國泡菜)라고 부른다. 한국식 절임 채소라는 뜻이다. 그러나 김치와 파오차이는 만드는 방식도 맛도 다르다. 김치가 ‘발효’에 초점이 있다면 파오차이는 피클처럼 ‘절임’에 중심이 놓인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지난 6월 방탄소년단이 김치를 홍보하는 방송에 출연했다. 중국어 자막에 ‘김치’를 번역한 말로 ‘파오차이’(泡菜)가 흘렀다. 그러자 우리의 ‘김치’가 아니라 중국의 ‘파오차이’를 홍보하는 것이냐는 논란이 일었다. 같은 달 GS25는 주먹밥 재료를 표기하며 김치의 중국어를 ‘파오차이’라고 적었다가 역사를 왜곡하는 근거가 된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런데 ‘파오차이’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표기 지침’ 훈령에 따른 것이기도 했다. 문체부가 지난해 7월 제정한 훈령에는 중국어 번역어가 ‘파오차이’였다. ‘중국에서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음식명의 관용적인 표기를 그대로 인정한다’는 규정을 적용한 용어였다. 하지만 김치가 파오차이에서 왔다는 주장이 중국 쪽에서 나오고, 중국의 문화공정이라는 인식이 생기면서 ‘파오차이’가 적절치 않은 번역어라는 여론이 일었다.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도 올 초 ‘파오차이’를 다른 말로 바로잡아 달라는 의견을 문체부에 냈다. 반크는 문체부의 훈령을 근거로 네이버, 다음 등 포털 사이트는 물론 국내 교과서, 학습서에도 김치가 ‘파오차이’로 번역돼 있다고 했다. 파오차이 대신 ‘신치’나 김치 그대로 수정하라고 요구했다. 신치는 2013년 농림축산식품부가 김치의 중국어 표기로 제안한 용어였다. ‘맵고 신선하다‘는 뜻을 가졌다.

문체부는 지난 7월 훈령을 개정해 김치의 중국어 표기를 ‘신치’(辛奇)로 바꿨다. 중국어에는 ‘김’ 소리를 내는 글자가 없기 때문이었다. ‘김’(金)은 ‘진’으로 발음된다. 문체부는 신치가 김치와 발음이 유사하고, ‘신’(辛)이 중국인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김치의 맛을 쉽게 연상시킨다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코카콜라가 중국에 처음 진출했을 때 중국어 명칭은 발음만 중시한 ‘커커컨라’(蝌蝌啃蠟)였다. ‘올챙이가 양초를 먹는다’는 뜻이었는데,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다. 이후 공모를 거쳐 정한 게 지금의 ‘커커우러’(可口可樂)다. ‘입에 맞아 즐겁다’는 의미다. 중국에선 소리 못지않게 의미도 중요한 것이었다. 한쪽에선 김치가 ‘김치’로 되지 않은 것을 여전히 안타까워한다. 김치가 ‘신치’나 이것의 우리 한자음인 ‘신기’로 바뀔까 우려한다. 지나친 근심과 걱정이다. 우리에게 김치는 계속 김치다.

이경우 전문기자 wlee@seoul.co.kr
2021-09-13 28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