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죽음을 가리킬 때

[이경우의 언파만파] 죽음을 가리킬 때

이경우 기자
입력 2020-10-18 20:18
업데이트 2020-10-19 0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생명이 끊어졌음을 가리키는 말 ‘죽다’ 또는 ‘사망하다’, 조금 덜 쓰이지만 그래도 낯설지 않은 ‘운명하다’. 이 말들은 죽음에 대해 특별한 의미나 가치를 덧붙이지 않는다. 그저 생명이 다했다는 사실을 평면적으로 나타낸다. 그렇지만 ‘숨지다’ 또는 ‘숨을 거두다’란 말은 직접적이지 않고 조금 굽어 있다. 어떤 죽음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기 꺼려지거나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라는 사회적 규범이나 규칙이 작용할 때는 죽음이 이렇게 완곡해진다. 자신보다 나이가 많을 때는 ‘돌아가시다’라고 높여 말한다. 여기에 사회적 관계나 위치에 따라 죽음을 나타내는 말들은 달라진다. 어렵기도 하고, 굽어 있기도 하고, 차별적이기도 하다.

‘별세’의 사전적 의미는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이다. 일상의 의미 또한 다르지 않지만, 사람의 죽음을 알리는 부고 기사들에서 ‘별세’는 가장 흔하게 보인다. 죽은 사람이 모두에게 ‘윗사람’인 것은 아닌데도 이렇게 알린다. 그것도 모두에게 쓰이는 건 아니고 나이가 있고, 살아생전 지위가 있었던 이들에게 주로 사용된다.

사회적으로 큰 업적이나 공헌을 한 사람들에게는 ‘별세’라는 말이 작아 보인다고 여기는 듯하다. 언론은 특별해 보이는 이들의 죽음을 ‘타계’라고 기록한다. ‘별세’보다 ‘타계’가 한 단계 위이듯 사전의 풀이도 달라 보인다. 사전은 ‘타계’를 ‘귀인(貴人)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한다. 대통령이나 교황이 사망했을 때는 또 다르다. 이때 언론들은 주로 ‘서거’라고 붙여 왔다. 이들의 죽음은 더 다른 무엇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죽은 몸을 가리키는 말들에도 구별과 차별이 있다. 낮추지도 높이지도 않는 ‘시체’라고 일반적으로 표현하고, 고유어를 써서 ‘주검’이라고도 하지만, 어떤 이의 죽은 몸은 ‘시신’이라고 높여 가리킨다. 어떤 ‘유골’들은 높여서 ‘유해’라고 한다. 때로 사회적 주목을 받는 이의 ‘시체’에도 ‘유해’라고 표현한다. 더 대접하고 싶어 하는 태도가 있다.

죽음은 종교별로도 다르게 나타난다. 불교에서는 ‘입적’이나 ‘일체의 번뇌나 고뇌가 소멸된 상태’를 뜻하는 ‘열반’이다. 개신교에서는 ‘하늘의 부름을 받아 돌아간다’는 뜻으로 ‘소천’이라고 한다. 가톨릭에서는 ‘큰 죄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일’의 의미로 ‘선종’이라고 한다. 천도교에서는 ‘근본으로 돌아간다’는 뜻에서 ‘환원’이라고 부른다. 모두 종교적 시각이 담겨 있다. 낯선 말들이지만 언론매체들은 대부분 그대로 전달한다. 이보다는 쉽고 일상적인 표현이 더 낫지 않을까.

2020-10-19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