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성씨, 직장, 직함

[이경우의 언파만파] 성씨, 직장, 직함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6-28 20:52
업데이트 2020-06-29 0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성’(姓)은 혈연관계를 나타내는 이름이다. 혈연 공동체의 이름이고 가문, 가족의 이름이다. 높여서 ‘성씨’라고도 한다. 본관까지 더해진 상대의 성을 안다는 건 그에 관한 정보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는 얘기도 된다. 어떤 이들은 성씨를 통해 상대의 집안 내력까지도 들여다본다.

이런 이유 때문은 아니지만, 낯선 누군가를 만나면 대부분 이름을 먼저 묻게 된다. 그러면 상대는 이름만 답하지 않는다. ‘김아무개’, ‘이아무개’라고 누구나 이름에 성까지 포함한 성명을 알려 준다. 누군가가 정말 이름만 알려 주면 다시 성씨를 묻는다. 그만큼 성씨는 낯선 상대에 대한 중요한 궁금증 가운데 하나다. 이름은 사실 그다음이다. 성씨에는 그 사람에 대한 정보가 아직은 조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전 시기에는 신분이나 사회적 위치 같은 것들도 성씨와 연결돼 있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성씨는 이제 그다지 큰 관심사가 아니다. 상대를 알거나 구별하는 데도 크게 유용하지가 않다. 대표 이름 정도로 여겨진다. 성씨보다 상대의 직장이나 직업, 소속집단에 더 관심을 갖는다.

다니는 직장이나 직업, 소속된 단체ㆍ기구ㆍ공동체의 이름이 성씨의 구실도 한다. 상대에게 자신을 소개할 때 소속 직장의 이름을 말하고 성명을 밝힌다. 명함에도 이런 순서로 자신을 알리는 글을 새긴다. 같은 직장에 다니는 사람은 어쩌면 같은 성을 쓰는 셈이다. 새로운 성씨의 탄생이다. 혈연관계가 아니라 사회적 관계란 점이 이전의 성씨와 다를 뿐이다.

직장의 이름들도 성처럼 얼마간의 정보를 드러낸다. 큰 곳이라면 어디에 있는지도 쉽게 알 수 있다. 또 어느 정도의 수입을 얻는지도 짐작할 수 있다. 부서나 직함까지 덧붙여진다면 본관을 아는 것과 비슷한 것이 된다. 이름을 묻는 건 형식적인 절차일 때도 적지 않다. 상대가 더 궁금해하는 건 그 사람이 다니는 직장이거나 직업, 소속집단 같은 게 됐다.

누군가 나타나면 먼저 떠오르는 건 ‘성이 뭘까’가 아니다. ‘뭐 하는 사람일까’이다. 자신을 밝힐 때 일하는 곳이나 직업 이름을 먼저 밝히는 일이 많다. 그리고 자신이 크고 이름난 성씨를 가졌을 때 폼을 잡던 이들처럼 이름난 직장에 속한 것에 대해서도 그러는 이들이 있다. 여기에 자신의 직함까지 이름 뒤에 덧붙여 말하기도 한다. 남이 자신을 제삼자에게 소개할 때 이름 뒤에 부장, 사장 등 직함을 붙이는 걸 따르는 것이다. 이러면 이건 존칭이다. 자신이 스스로 직함까지 붙이는 건 친절이 아니라 불친절이 될 수 있다.
2020-06-29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