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익숙하거나 자신이 경험한 테두리 안의 것들에는 이처럼 옳게 보려는 태도가 있다. 편안함과 안정감도 느끼고, 범위를 넓혀 올바른 행동이라는 의식에까지 이른다. 반대로 낯설거나 자신의 영역 밖의 것들에는 두려움이나 공포가 있다. 이것은 다시 그릇되고 잘못된 것이라는 태도로 나타나기도 한다. 틀린 것이며 물리쳐야 하는 대상이 된다.
‘틀리다’는 말에도 이런 태도의 흔적과 뒤끝이 있다. 즉 다른 것, 낯선 것은 곧 틀린 것이기도 했던 시절이 묻어 있다. 그래서 ‘틀리다’는 말은 때때로 ‘다르다’의 의미로 사용된다. “피부색이 틀리네”, “내 시계는 네 시계와 틀려”, “틀린 그림 찾기” 같은 표현에서 ‘틀리다’는 ‘다르다’이다. 받아들이는 쪽에서도 이런 ‘틀리다’를 ‘그릇되다’, ‘어긋나다’, ‘잘못되다’ 같은 뜻으로 이해하지 않는다. 맥락상 ‘다르다’는 의미라는 걸 바로 알아차린다.
시계를 자랑하거나 우쭐해하고 싶을 때 “내 시계는 달라”라고 하기는 쉽지 않다. 대부분 “내 시계는 틀려”라고 말한다. 이렇게 강조하고 싶을 때 ‘다르다’는 밋밋해서 ‘틀리다’가 적절한 것으로 선택돼 왔다. ‘틀린 그림 찾기’도 ‘다른 그림 찾기’라고 하면 말맛이 떨어진다.
“피부색은 틀린 게 아니다. 다른 것이다. ‘틀렸다’는 표현은 옳지 않다.” 그럴듯해 보이지만, 온전히 받아들이기에는 찜찜한 데가 있다. 우려하는 것처럼 누구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럼에도 바로 쓰라고 지적하는 건 지나치게 국어사전의 일반적인 뜻풀이에 기댄 결과다.
‘그의 미친 연기력’에서도 ‘미친’을 사전의 기본 의미로 이해하지 않는다. 말로 표현하기 힘들 정도로 뛰어난 연기력을 이렇게 표현하곤 한다. 잘못을 저지른 사람에게 “참 잘했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말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정말로 ‘잘했다’로 여기지 않는다. ‘정말 못했다’는 말을 세게 하기 위해 반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일부 공간에서 ‘틀리다’는 ‘다르다’와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사실은 ‘피부색이 틀려’의 ‘틀리다’가 인권을 침해한다고 보기도 어렵다. 국어사전의 뜻풀이를 더 섬세하게 하는 게 낫겠다.
wlee@seoul.co.kr
2020-03-02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