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서가 정리란 취향 확인하기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서가 정리란 취향 확인하기

입력 2019-11-25 23:58
업데이트 2019-11-26 04: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책 좀 어떻게 하지?”

아내가 서재로 쓰는 방을 둘러보며 하는 말. 살짝 계면쩍게 웃으며 둘러보았다. 책 좋아하는 정신과 의사이며 저자이기에, 책을 사들이는 건 저술을 위한 일이라 정당화하기에 공간은 빅뱅 직전의 임계점에 도달했다. 남들이 볼 때 혼란의 아수라장이겠으나 내 나름 체계적 분류로 나는 모든 책의 행방을 알고 있다. 새로 입수한 책은 책상 위에 쌓이고, 읽고 난 다음 보존 가치가 결정된다. 적잖은 통찰을 줬거나, 줄을 긋고 메모한 책은 명예의 전당이라 이름 붙인 하나의 서가로 이동한다. 이곳은 프로야구 1군 엔트리가 정해져 있듯 하나가 들어가면 하나는 나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오랫동안 들춰 보지 않은 책은 새 책에 자리를 내주고 카테고리별 서가로 옮겨진다. 한편 평범하지만 소장할 책은 일반 서가로 가는데, 꽉 찬 지 오래라 서가 사이 빈틈에 옆으로 쑤셔 넣거나 바닥에 쌓인다. 1년에 100여권의 책이 흘러 들어오고 나가는 책은 적으니 결단의 순간은 주기적으로 오게 된다.

바로 지난 주말이었다. 아무 일 없는 일요일 오후 크게 심호흡을 하고 서가를 둘러보았다. 솔직히 버릴 책은 한 권도 없지만 매의 눈으로 과감히 뽑아냈다. 몇 년 동안 꺼내지 않은 책, 시효가 지난 트렌드서, 읽지 않을 소설과 에세이가 타깃이다. 여기까지는 꽤 빨랐지만 그다음부터 한 권씩 꺼내 들춰 보며 바닥에 주저앉아 옛 생각에 잡혀 있기 일쑤다. 10대에 읽었던 책 가운데 여러 번 이사에도 살아남은 애들은 차마 버릴 수 없어 자기 자리로 돌아간다. 무라카미 하루키같이 좋아하는 작가의 책은 에세이나 인터뷰도 전작주의적 관점에서 단 한 권도 버릴 수 없게 되고, 다른 서가에 꽂혔던 책들이 자기 자리로 옮겨져 볼륨은 더 커진다. 결국 이제는 관심이 줄어든 영역의 책들이 다음 차례로 서가에서 방을 뺀다. 땀흘려 확보한 공간에는 바닥에 쌓여 있던 책들이 자리를 잡는다. 월세방을 전전하다 안정적 보금자리가 생긴 사람의 표정이 꽂힌 책에서 느껴진다. 200권 가까운 책들의 자리바꿈과 함께 작업이 얼추 끝났다. 돌아보니 듬성듬성 빈자리도 보이고, 새로 꽂아 놓을 자리도 보인다.

마치 산에서 하는 작업과 같았다. 나무가 너무 빡빡하게 심어져 있으면 어느 이상 크게 자랄 공간을 갖지 못해 다 고만고만하게 자라다 멈춰 버리고 고사해 버리기 일쑤다. 이를 막기 위해 사이사이 잡목을 잘라 내 공간을 만들어 내는 작업을 해야 한다. 문제는 무엇이 좋은 나무고, 무엇이 잡목인지 구분하는 것이다. 책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타인에게는 최고의 책이 내게는 잡목과 같은 책이다. 취향의 문제다. 솎아 낸 책들과 살아남은 책들을 돌아보면서 내 취향이 무엇인지 확연해졌다. 평소 잡독가에 질보다 양을 선택하는 타입이지만 이런 과정을 거치며 내가 뭘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알게 됐다. 적당히 안 본 책이 없는 듯 트렌디한 책을 얼추 읽었지만, 정작 끝까지 마음에 두는 주제는 넓지 않은 편이었다. 내 취향에 맞는 경우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나온 주요한 책은 거의 갖고 있었다.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이건 우리의 취향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은 자기 취향을 드러내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남들이 나를 어떻게 볼까 신경쓰면서 무난한 선택을 반복한다. 그런 것들이 쌓여 나가면 어느 순간부터 내가 진짜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헷갈려 버릴 위험이 있다. 이때는 솎아 냄이 필요하다. 시간이 지나면 내 취향에 맞는 책과 아닌 책을 가를 수 있듯이 시간이 얼추 지나고 나면 타인의 평가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진짜 내 눈으로 대상을 판별해 낼 수 있다. 이 과정을 거치고 난 다음에 비로소 내 취향이 남고, 결과물을 보면서 그제서 일상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나란 사람의 정체성의 본질을 인식할 수 있다.

나란 상식이란 바탕 위에 취향이란 디자인으로 만들어진 복합물이다. 책뿐 아니라 옷, 음악, 그릇과 같은 물건들로도 가능한 작업이다. 주기적 솎아 냄으로 새로운 공간이 만들어지고, 가려져 있던 내 취향은 자기 자리를 잡을 수 있다. 이것이 내가 나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돌이켜 보니 서가에서 95%의 확률로 살아남는 건 언제나 만화책이다. 차마 버릴 수 없었다니까.
2019-11-26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