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개 도축 제로 도시, 서울/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자치광장] 개 도축 제로 도시, 서울/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입력 2019-11-21 17:36
업데이트 2019-11-22 0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서울시는 지난달 26일 살아 있는 개 도축 행위가 완전 중단됐음을 선언했다. 이는 서울시가 추구해 왔던 생명존중도시를 대내외에 다시 확인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동안 대표적 전통시장인 동대문구 청량리 경동시장과 중구 신당동 중앙시장 내 일부 업소에서 살아 있는 개를 도축해 판매해 왔다. 이에 시장을 방문하는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 등으로부터 개 도축 행위가 잔인하다며 도축 중단 민원도 받아 왔다.

서울시는 도심 내 살아 있는 개 도축 행위를 근절하고자 수년간 끈질긴 설득과 점검을 실시해 왔다. 2016년부터 경동시장, 중앙시장 내 개 도축업소 8곳(경동6, 중앙2)을 대상으로 자치구·유관기관과 함께 매주 단속했다. 그 결과 2017년 3곳이 폐업했고, 3곳이 도축을 중단한 데 이어 지난해 마지막 경동시장 2곳도 설득 끝에 확약서를 받아 올해부터 8곳 모두 도축을 중단했다. 그간 일각에서 제기한 ‘동물학대시장(市場)’이라는 오명도 벗어버렸음은 물론이다.

또한 시 외곽지역 개 도축업체 3곳도 자치구와 함께 끊임없는 단속과 방문 설득으로 도축 중단 동참을 이끌어 냈다. 이들 업체도 결국 지난달부터 도축 행위 중단에 협조함에 따라 지난달 드디어 서울시내에서 살아 있는 개 도축 행위가 완전히 사라지게 됐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2월 9일 유기견 영화 ‘언더독’ 관람 후 관객과의 대화에서 “조만간 서울에서 개를 잡는 업소를 완전히 없애고 ‘개 도축 제로 도시’를 선언하려 한다”며 “한두 군데 남았다고 하는데 강제로 할 순 없기 때문에 여러 방식으로 압력을 가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이후 9개월 만에 개 도축 제로 도시를 선언했다.

이번 ‘서울시 개 도축 행위 근절’은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관할지역 내 개 도축 행위가 전면 중단된 첫 사례다. 개 도축 행위 중단에 협조해 주신 업주 분들에게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한다.

앞으로도 ‘동물공존도시! 개 도축 제로도시 서울’을 유지하고 품격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 혹여 다시 개 도축 행위가 발생한다면 모든 수단을 활용해 차단할 예정이다. 동물도 생명으로서 존중받고, 사람과 함께 더불어 행복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시민 여러분의 변함없는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
2019-11-22 29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