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꽃바람처럼 덧없는 그녀의 권세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꽃바람처럼 덧없는 그녀의 권세

입력 2019-04-22 22:40
업데이트 2019-04-23 0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훤의 ‘괵국부인유춘도’(부분), 북송 모작, 비단에 채색, 52X148.7㎝, 랴오닝성박물관.
장훤의 ‘괵국부인유춘도’(부분), 북송 모작, 비단에 채색, 52X148.7㎝, 랴오닝성박물관.
당 현종과 양귀비의 로맨스는 1300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뭇사람의 입에 오르내릴 정도로 유명하다. 하지만 이들이 지고지순한 순정을 나눴다거나, 4월의 첫사랑처럼 풋풋해서, 혹은 비극적인 결말 때문에 화제였던 것만은 아니다. 이들은 저마다 확인하기 어려운 염문들을 뿌렸다. 현종이 뿌린 무수한 염문 중의 하나가 양귀비 셋째 언니 괵국부인(虢国夫人)을 총애한 일이다. 양귀비 못지않게 아름다웠다는 괵국부인이 얼마나 총애를 받았는지를 보여 주는 그림이 ‘괵국부인유춘도’(부분도)다.

이 그림은 실제 일어났다는 일을 당의 황실 화가 장훤(張萱)이 그렸고, 이를 북송대에 모사한 것이다. 장훤의 원본은 남아 있지 않다. 그는 궁중 여인들의 생활상을 잘 그린 화가로 유명하다. 봄바람에 흔들리는 꽃잎처럼 섬세한 필치, 화사하게 피어나는 색감, 풍만한 여성들의 자태가 장훤 그림의 특징이다.

그림에는 모두 9명이 등장하는데, 이 부분도에서 가운데 인물이 진국부인(秦国夫人)과 괵국부인으로 보인다. 뒷줄 중앙에 안장이 화려하고 정성껏 갈기를 묶은 말을 아이와 함께 탄 여인은 큰언니 한국부인(韓國夫人)이 아닌가 싶다. 세 언니는 양귀비가 득세한 후인 748년 각기 부인에 봉해졌다.

배경에는 아무것도 없고, 말과 인물만 비스듬하게 대각선으로 배치해 화면에 깊이를 더해 준다. 필선이 매우 가늘고, 선의 굵기에 변화가 없으면서도 선 자체가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듯하다. 여성들은 화사한 치마에 일종의 스카프인 피백(披帛)을 걸쳤다. 위로 묶은 머리를 느슨하게 늘어뜨리고 푸근하게 살집이 있는 여인들의 모습은 8세기 미인의 전형이다.
이미지 확대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가장 뒤쪽에 있는 젊은 사람은 남자처럼 보이지만 시녀다. 옷깃이 둥글게 처리된 관복 비슷한 그녀의 옷은 오랑캐 옷, 즉 호복(胡服)이라 한다. 여성이 남자의 호복을 입은 것이 이 시기의 특징이다. 원래 한족 문화에서 여성은 말을 타지 않았다. 이민족들이 섞여 대제국을 이룬 당의 혼종적인 성격이 여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동하게 했고, 당의 여성은 호복에 바지를 입고 승마를 했다. 바로 뒤이은 송나라 여성이 다시 말을 타지 않은 것을 보면 이 그림에서는 당의 여성이 얼마나 당당했는가를 알 수 있다. 그러니 백거이가 ‘장한가’(長恨歌)에서 “마침내 천하의 부모들이 아들을 바라지 않고 딸 낳기를 중히 여기네”라고 읊었던 게 아닌가.

물론 모든 여성이 그런 권세를 누릴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9세기 초 장호(張祜)는 “괵국부인, 주군의 승은을 입어 새벽녘에 말을 탄 채 궁으로 들어가네. 분단장이 외려 안색을 망칠까봐 눈썹만 가볍게 그리고 지존을 뵌다네”(虢國夫人承主恩, 平明騎馬入宮門, 卻嫌脂粉污顏色, 淡掃蛾眉朝至尊)라는 시를 썼다. 워낙 피부가 고와서 화장품이 자기 얼굴을 더럽힌다고 맨얼굴로 궁궐에 들어갈 정도로 자신감이 넘쳤으니 어찌 현종이 그녀를 총애하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아무나 드나들 수 없는 ‘평명’(平明)이라는 새벽 시간에 괵국부인이 말을 탄 채 궁을 들어가는 권세를 누린 까닭이다.

어쩌랴. 화무십일홍이라. 양귀비와 함께 비운의 죽음을 맞았으니 그녀의 방자함도 봄날의 꿈이었을 뿐이다.
2019-04-23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