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지하철 공짜 마스크’ 취약층 먼저 드려요/황비웅 사회2부 기자

[오늘의 눈] ‘지하철 공짜 마스크’ 취약층 먼저 드려요/황비웅 사회2부 기자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20-03-09 01:40
업데이트 2020-03-09 03: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비웅 사회2부 기자
황비웅 사회2부 기자
지난 3일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에서 배부하는 마스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취재에 나섰다. 서울시내버스에서는 버스기사에게 10~20장씩 배부한 뒤 시민이 요구하면 나눠 주는 식이었고, 서울 지하철에서는 하루 80~100장씩 비치한 뒤 역무 사무실에 찾아오는 시민들에게 한 사람당 한 장씩 배부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온 국민이 ‘마스크 대란’으로 사투를 벌이고 있는 마당에 불특정 다수에게 무작정 나눠 주는 건 좀 의아해 보였다.

온 국민이 마스크 한 장이라도 구하기 위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마스크가 반드시 필요한 노인·장애인 등 사회취약계층은 마스크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가 된 지 오래다. 노인과 장애인들이 약국과 우체국 등 공적 판매처에 줄을 서는 것은 쉽지 않고, 그나마도 정보에 어두워 늦게나마 약국에 가면 허탕 치기 일쑤다. 대구·경북 등 재난 현장의 의료진은 마스크가 부족한 상태에서 생명을 담보로 24시간 내내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이고 있다.

이미 ‘마스크 대란’은 국가재난 사태가 됐다. 이에 지난 3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마스크 대란’에 대해 직접 나서 대국민 사과를 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마스크 5부제’ 실행을 하루 앞둔 8일 대국민 담화문까지 발표하며 “꼭 필요한 곳에 우선적으로 공급하도록 배려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실제로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서비스(SNS)에는 ‘#마스크 안 사기_동참’이라는 해시태그를 단 글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각 지역 맘 카페 등에서는 ‘남는 마스크를 필요한 곳에 기부하자’는 움직임도 있다.

서울 지하철 역무 사무실에 80~100장씩 쌓여 있던 마스크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할 뿐 아니라 안내문도 안 보여 꼭 필요한 사람이 찾기 힘든 상황이었다. 마스크가 꼭 필요한 기저질환자 또는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게 돌아가지 못한다는 점도 문제다.

이런 부분을 지적하자 서울시에서는 지난 5일 서울교통공사에 ‘지하철 무료마스크 배부 방법 변경 통보’라는 공문을 보내 기저질환자 또는 노인, 임산부, 노숙인 등 취약계층에게 우선 마스크를 배부하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각 지하철역 역무사무실에서는 신분증 확인을 통해 배부 대상을 확인하고 배부대장을 작성한 뒤 배부한다. 시행은 9일부터다. 눈에 잘 띄지 않던 마스크 배부 안내문도 시민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부착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정책의 미진한 점이 발견되는 대로 즉각 조치하기 바란다.

stylist@seoul.co.kr
2020-03-09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