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정욱의 혁신경제] 아이폰 충격, 테슬라 충격

[임정욱의 혁신경제] 아이폰 충격, 테슬라 충격

입력 2020-07-19 20:14
업데이트 2020-07-20 0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정욱 TBT 공동대표
임정욱 TBT 공동대표
테슬라를 처음 만난 것은 12년 전인 2008년 LA에서였다. 친분이 있던 성공한 벤처기업가의 사무실을 방문했을 때였다. 점심을 먹으러 가며 그가 “이런 차 본 일 있냐”며 자랑하듯 테슬라 로드스터를 태워 줬다. 그 차는 테슬라가 처음으로 내놓은 전기 스포츠카였다. 완전 전기자동차는 나도 그때 처음 봤다. “세상에 이런 차도 있구나” 하며 극히 일부 마니아만 타는 차로 생각하고 넘어갔던 기억이 있다.

2013년 실리콘밸리로 이주한 다음에는 모델S라는 테슬라의 고급형 세단이 점점 많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하루는 친한 벤처투자자가 자신의 모델S를 태워 줬다. 엄청나게 큰 액정화면이 운전석 옆에 붙어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3G 네트워크를 통해서 항상 인터넷에 연결돼 있고, 차량의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는 것도 놀라웠다. 그는 내게 “사실 나는 테슬라가 망할 회사라고 생각했다”며 “그런데 차를 직접 몰아 보고 생각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는 좋은 차는 다 몰아 봤는데 이 차만 한 것이 없다는 얘기였다. 그는 “이건 바퀴 달린 아이폰”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했다. 자동차 업계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는 것을 처음 느꼈다.

이후 실리콘밸리에 갈 때마다 테슬라가 늘어나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 2017년 보급형 모델인 모델3가 양산되며 실리콘밸리의 한인들은 “테슬라는 실리콘밸리의 쏘나타”라는 말을 하기 시작했다. 그 정도로 테슬라 차량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창업자이자 CEO인 일론 머스크의 돌출 행동과 트윗 때문에 지난 몇 년간 천당과 지옥을 오갔던 테슬라의 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 334조원으로 세계 1위의 자동차회사인 도요타의 250조원 시총도 멀찌감치 따돌렸을 정도다.

테슬라가 코로나 속에서도 이렇게 선전하고 있는 것은 매력적인 제품 때문이기도 하지만 코로나19라는 팬데믹 현상이 오히려 기회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기 위해 미국인들은 예전보다 대중교통 이용을 기피하고 자동차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신차 구매를 위해 자동차 대리점에 가기 어렵다. 코로나로 인해 문을 닫기도 했고 사람을 접촉하는 것이 두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테슬라는 온라인으로 쉽게 완전 비대면 구매가 가능하다. 테슬라 오프라인 대리점까지 폐쇄할 정도로 극단적인 디지털 우선 전략을 펼친 일론 머스크의 선견지명 덕분에 테슬라는 팬데믹 상황에서 오히려 크게 판매를 신장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테슬라가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3는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6839대 팔리며 국내 판매 1위 전기차가 됐다. 이제 서울 강남이나 판교 등지에서는 실리콘밸리처럼 어디에서나 흔하게 테슬라차를 만날 수 있게 됐다. 언론에도 매일같이 테슬라 관련 기사가 나온다.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능이 과대평가됐다, 수입차에 보조금 지원이 지나치다며 견제하는 보도도 늘어나고 있다.

요즘 한국에서의 테슬라 열풍 현상을 보며 10년 전의 아이폰 충격을 떠올리게 된다. 2009년 말 한국에 처음 상륙한 아이폰은 출시와 함께 돌풍을 일으켰다. 그리고 상륙 1년도 안 되는 사이에 100만대 판매를 달성하며 한국에 스마트폰 시대를 열었다. 옴니아라는 스마트폰으로 아이폰에 처음 대응한 삼성전자는 이후 절치부심, 글로벌 전략폰 갤럭시 시리즈를 내놨다. 애플과 경쟁하며 이제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1등 업체가 됐다. 한국은 전 세계에서 스마트폰을 가장 빠르게 받아들인 나라 중 하나가 됐고 LTE망에 이어 5G망까지 가장 빠르고 촘촘하게 모바일 인터넷망이 구축된 나라가 됐다. 스마트폰 관련 비즈니스로 성장한 쿠팡, 배민 등의 스타트업들도 같이 급성장 중이다.

이제 한국 자동차시장에 아이폰 충격 같은 테슬라 충격이 오고 있다. 한국인들은 일단 한번 꽂히면 빠르게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고 즐기는 경향이 있다. 일단 한번 전기차에 맛을 들인 한국의 소비자들이 계속해서 더 나은 전기차 성능과 충전 네트워크 등 관련 제품과 서비스들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한국의 전기차와 관련 배터리, 서비스 산업들이 이런 까다로운 국내 소비자 요구에 잘 대응한다면 단숨에 글로벌 수준으로 뛰어오를 수 있다. 테슬라 충격이 우리 전기차산업이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2020-07-20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