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가을이 쓸쓸한 이유/김이설 소설가

[문화마당] 가을이 쓸쓸한 이유/김이설 소설가

입력 2020-10-07 17:12
업데이트 2020-10-08 0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이설 소설가
김이설 소설가
이 계절만 되면 여지없이 꺼내 드는 시집이 있다. 최승자 시인이 쓴 ‘이 時代의 사랑’. 그 시집에 이런 시가 실려 있다. ‘개 같은 가을이 쳐들어온다./ 매독 같은 가을.’(‘개 같은 가을이’ 중)

시인이 말하는 그 가을이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가을이 쳐들어온다는 건 어떤 이미지인지 알 것 같다. 가을은 가을로 변해 가는 것이 아니라 가을로 쳐들어오기 때문이다.

어제까지만 해도 에어컨과 선풍기 없이는 잘 수 없는 여름이었는데 오늘부터 하늘은 파랗게 질리고, 그늘 밑은 서늘하며 바람에서 외로움의 냄새가 맡아지는 계절이 되고 만다. 그것이 가을이 쳐들어왔다는 증거다.

가을에는 해가 지면 쓰레기도 버리러 가지 않는다는 친구가 떠오른다. 쓰레기 버리러 나간 차림 그대로, 그 길로 집을 나갈 것 같은 불길함이 들기 때문이라는 건데, 선선하고 쓸쓸한-사람을 순식간에 외롭게 만드는 바람이 가슴 한 구석을 후벼 파고 나가버려 사람을 어쩌지 못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다소 황당한 이유였지만 고개를 끄덕였다. 이유 없이 고적해지는 기분, 까닭 없이 서글퍼지는 감정, ‘이게 다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하는 의문이 들고 내가 쥐고 있는 것들이 모두 부질없이 느껴지는 순간이라면 나도 잘 알기 때문이다. 그것이 가을이 되면 더 자주 찾아온다는 것도 이미 경험으로 알고 있다.

누군가는 갱년기 때문이라고 한다. 누군가는 인간은 원래 외로운 존재여서 그렇다고도 하고, 가을이 본디 쓸쓸한 계절이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풍성하고 푸르던 세계가 한순간 저무는 색으로 변하는 계절이어서, 한여름같이 뜨거웠던 청춘이 끝나 버린 중년의 힘없는 발걸음처럼 느껴지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계절은 변하기 마련이니, 가을 지나 겨울 끝에 다시 또 봄이 오고 여름이 찾아오겠지만 인생이란 한번 여름이 끝나면 다시는 그 여름이 찾아오지 않기 때문이지 않을까. 결국 청춘은 영원하지 않고, 젊음은 유한하며, 우리는 하루하루 늙어간다는 깨달음.

사전을 찾아보니, ‘젊다’는 단어에는 세 가지 의미가 있다. 모두가 알고 있는, 나이가 한창때에 있다는 의미이자 혈기 따위가 왕성하다는 의미. 또 보기에 나이가 제 나이보다 적은 듯하다는 뜻도 갖고 있다. 이 세 가지에 포함되지 않는 나는 분명 인생의 가을이며 중년이라는 방증이겠다. 당연하지 않은가. 어느새 40대 후반이다.

그러나 누군가는 내게 한창때라고 할지도 모른다. 그들은 너의 지금이 가장 젊을 때라고도 말할 것이다. 여름에 바라보는 가을은 늙음이지만, 겨울에 가을을 바라보면 젊음으로 치환되는 것이니까. 그러니 이렇게 쓸쓸한 까닭은 아직도 청춘을 못 잊었기 때문이다. 오늘보다 어제가 더 좋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 생각은 얼마나 쓸모없는가. 오늘보다 내일이 더 나을 거라고 생각한다면, 어제보다 오늘이 훨씬 낫다고 생각한다면 좀 덜 쓸쓸해질 텐데. 그러나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것이 사람의 마음인 것을. 도리가 없으니 쓸쓸할 수밖에.

이유야 어떻든 가을에는 마음껏 쓸쓸해지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요즘의 우리 일상이 쓸쓸할 겨를도 없는 나날이지만 그래도 가을이 왔다는 것을 몸으로 느끼고 있는 당신이라면 말이다. 그러니 가을마다 읽는 시를 한 편 더 읽어야겠다.

‘거기서 알 수 없는 비가 내리지/ 내려서 적셔 주는 가여운 안식/ 사랑한다고 너의 손을 잡을 때/ 열 손가락에 걸리는 존재의 쓸쓸함/ 거기서 알 수 없는 비가 내리지/ 내려서 적셔 주는 가여운 평화’

최승자 시인의 ‘사랑하는 손’이다.
2020-10-08 3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