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박수의 맛/이진상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피아니스트

[문화마당] 박수의 맛/이진상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피아니스트

입력 2019-11-27 21:00
업데이트 2019-11-28 01: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진상 피아니스트·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이진상 피아니스트·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교향곡의 1악장이 열광적으로 끝난다. 박수 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지휘자는 소스라치게 놀라 펄쩍 뛰며 청중을 향해 돌아서서는 눈을 부릅뜨고 손사래 치며 박수를 거절한다. 겸언쩍은 헛기침을 뒤로하고 이내 잠잠해지면 다음 악장을 시작한다. 느린 악장도 이내 너무 아름다웠는지 누군가의 박수 소리가 나오기 시작하는 순간 그 한 사람의 손뼉 소리보다 더 무시무시한 성난 청중의 “쉬잇!” 소리가 공연장 전체를 압도해 버린다.

드디어 대망의 4악장이 끝나는 순간, 두 번의 참혹한 실패에 의한 쪽팔림과 눈치 때문에 일단 끓어오르는 박수는 자제하고 주위를 살펴야 한다. ‘아직 끝난 게 아닐 수도 있어’, 아니면 ‘혹시 5악장이라도 있는 것이 아닐까.’

결국 ‘클래식은 역시 어려워’라는 기억을 가진 채 집에 돌아가는 발걸음이 무겁다.

독일 쾰른 필하모니에서 이스라엘 태생의 미국 피아니스트 예핌 브론프만이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연주했을 때가 기억난다. 1악장의 장대한 카덴차를 신들린 듯 연주한 뒤 마지막 음과 함께 마침표를 찍었다. “이걸 어쩌지. 박수 안 치고 그냥 넘어갈 수가 없어….” 마치 양손에 자석이 달린 양 끌어당기는 두 손을 안간힘으로 떼어내는 기분이었다.

숨이 멎을 정도의 강렬함을 느낀 건 비단 나만은 아니었던 듯, 모두 같은 딜레마에 빠져 있는 분위기가 확실하게 느껴졌다. 그 순간 피아니스트가 갑자기 의자에서 벌떡 일어나더니 청중들에게 인사를 하는 게 아닌가. “그래 그래, 그 맘 내가 알아. 박수 치고 싶으면 얼마든지 쳐도 돼. 내가 감사히 받아줄게.” 이런 표정으로. 순간 빗장이 풀린 듯 모든 청중은 감탄을 연발하면서 박수를 쳤다.

다악장으로 작곡된 많은 곡들은, 각 악장이 서로 다른 시기에 작곡됐다든가, 순서대로 만들지 않은 경우가 많다. 때로는 전혀 다른 목적으로 작곡한 소품을 갖다 붙이는 경우도 있다. 작곡가들이 자신의 곡을 연주할 때에도 단악장씩 연주를 하는 일이 많이 있었고 몇몇 악장을 발췌하는 방식으로도 연주하곤 했다. 그 당시에는 악장 간에 박수를 치는 건 다반사고 연주를 하고 있는 중에도 박수가 나오기도 했다. 심지어 옆 사람과 편하게 대화하며 감상하는 경우도 많았다. 오페라 아리아가 끝나자마자 가수에게 박수를 치는 장면을 기억해 보면 비교가 쉽다.

악장 간의 박수가 과연 옳은가 그른가를 판단하는 건 내게는 의미가 없다. 청중은 항상 옳기 때문이다. 마지막 음이 허공으로 사라지는 순간까지, 뿐만 아니라 그 정적까지 공유하며 참고 기다린 박수가 의미 있을 때도 있다. 흥분을 감추지 못해 끝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터져나오는 박수가 더 자연스럽고 마땅할 때도 있다. 공연을 완성하는 주체는 연주자가 아닌 청중이다.

관객들은 공연 전 안내 멘트로, 프로그램북에서 악장 간의 박수는 자제해 달라는 고지로, 수차례 교육을 받는다. 하루의 힘든 일과 뒤에 스스로에게 보상을 해 주고 싶어서, 현실에서 벗어나 음악에 몸을 맡기고 싶어서 온 청중들에게 또 한 차례 제재가 따르는 일은 때론 매정하기도 하다. 시즌권을 지닌 청중들을 꽤나 많이 확보한 어느 한 도시의 기획자가 연주회 후에 으쓱해하며 이야기한다. “우리 청중들은 숨죽여 연주를 감상하고, 악장 간의 박수는 절대 치지 않아요. 그렇게 만들어지기까지 참으로 오래 걸렸죠.”

슬프게도 그들은 박수 치는 법은 배웠지만 박수 치는 맛은 잃어버린 듯했다. 전 악장이 끝난 후에도 눈치 보며 슬슬 박수를 시작하는 분위기보다는 차라리 악장과 악장 사이에 거침없이 나오는 박수가 내겐 때론 반갑고 힘을 실어 주기도 한다.
2019-11-28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