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택훈 시인
올해는 4·3 71주년이다. 제주작가회의는 해마다 4·3평화공원에서 4·3 시화전을 실시한다. 그런데 이번에는 제주대 교정에서도 같은 작품으로 4·3 시화전을 열었다. 제주대 국어국문학과 학생들도 시작품으로 참여했다.
이번에 제주대에서 4·3 시화전을 연 의미는 4·3 해결을 위한 노력에서 제주대 학생들을 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1989년 4월 제주대총학생회에 의한 4·3진상규명촉구 집회가 열렸다. 학생회관 앞에 모인 제주대 학생들은 감옥에 끌려갈 각오로 진상 규명을 부르짖었다.
1989년 필자는 중학생이었다. 제주도의 대학로 격인 제주시청 앞에서 대학생들이 스크럼을 짠 채 아스팔트에 드러누웠다. 3만명가량 희생된 4·3. 제주 사람들 대부분 유족이나 마찬가지다. 형과 누나들은 하늘을 향해 외쳤다. 진실을 밝히라고. 그후 30년이 지나 4·3 생존 수형인에 대한 재심에서 무죄가 선고됐다.
해마다 4월이면 제주도는 벚꽃이 한창이다. 왕벚꽃나무의 자생지 제주도에는 벚꽃나무 군락지로 유명한 곳이 몇 군데 있다. 그중에서도 제주대 입구가 다른 곳과 함께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1989년에도 제주대 입구에는 벚꽃이 활짝 폈으리라. 제주대 4·3 시화전을 제안한 김동윤 제주대 교수는 1989년 당시 이 학교 학생이었다. 다시 그날의 벚꽃이 날리는 교정에서 후배이자 제자인 학생들이 읽는 4·3 시를 듣는 마음은 ‘분분한 낙화’처럼 아름다우면서 아련할 것이다.
형과 누나들의 머리 위에 떨어지던 꽃잎들. 군사재판의 수형인 명부에 기록된 사람들 중 2500명은 이미 숨을 거두었다. 1989년의 외침처럼 4·3의 완전한 해결이 이뤄지지 않은 지금도 진실을 찾기 위한 외침은 이어져야 한다. 제주대 교정에 핀 벚꽃은 4월 3일에 만개할 것이다.
2019-04-03 3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