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벚꽃은 해마다 피고 진다/현택훈 시인

[기고] 벚꽃은 해마다 피고 진다/현택훈 시인

입력 2019-04-02 22:32
수정 2019-04-03 01: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현택훈 시인
현택훈 시인
지난 1월 17일 제주 4·3 생존 수형인에 대한 재심 판결이 있었다. 제주지방법원은 억울한 옥살이를 한 18명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마침내 내란실행 및 국방경비법 위반 혐의가 사라졌다. 4·3 당시 진행된 군사재판이 불법 재판임을 입증한 셈이다. 그들은 법원 앞에서 만세를 불렀다. 70년 만에 억울함이 사라지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너무 늦었다. 이미 많은 분들이 돌아가셨고, 생존 수형인들 대부분 구순을 넘긴 고령이다.

올해는 4·3 71주년이다. 제주작가회의는 해마다 4·3평화공원에서 4·3 시화전을 실시한다. 그런데 이번에는 제주대 교정에서도 같은 작품으로 4·3 시화전을 열었다. 제주대 국어국문학과 학생들도 시작품으로 참여했다.

이번에 제주대에서 4·3 시화전을 연 의미는 4·3 해결을 위한 노력에서 제주대 학생들을 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1989년 4월 제주대총학생회에 의한 4·3진상규명촉구 집회가 열렸다. 학생회관 앞에 모인 제주대 학생들은 감옥에 끌려갈 각오로 진상 규명을 부르짖었다.

1989년 필자는 중학생이었다. 제주도의 대학로 격인 제주시청 앞에서 대학생들이 스크럼을 짠 채 아스팔트에 드러누웠다. 3만명가량 희생된 4·3. 제주 사람들 대부분 유족이나 마찬가지다. 형과 누나들은 하늘을 향해 외쳤다. 진실을 밝히라고. 그후 30년이 지나 4·3 생존 수형인에 대한 재심에서 무죄가 선고됐다.

해마다 4월이면 제주도는 벚꽃이 한창이다. 왕벚꽃나무의 자생지 제주도에는 벚꽃나무 군락지로 유명한 곳이 몇 군데 있다. 그중에서도 제주대 입구가 다른 곳과 함께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1989년에도 제주대 입구에는 벚꽃이 활짝 폈으리라. 제주대 4·3 시화전을 제안한 김동윤 제주대 교수는 1989년 당시 이 학교 학생이었다. 다시 그날의 벚꽃이 날리는 교정에서 후배이자 제자인 학생들이 읽는 4·3 시를 듣는 마음은 ‘분분한 낙화’처럼 아름다우면서 아련할 것이다.

형과 누나들의 머리 위에 떨어지던 꽃잎들. 군사재판의 수형인 명부에 기록된 사람들 중 2500명은 이미 숨을 거두었다. 1989년의 외침처럼 4·3의 완전한 해결이 이뤄지지 않은 지금도 진실을 찾기 위한 외침은 이어져야 한다. 제주대 교정에 핀 벚꽃은 4월 3일에 만개할 것이다.
2019-04-03 3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1월 5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미국 국민은 물론 전세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여론조사 격차는 불과 1~2%p에 불과한 박빙 양상인데요. 당신이 예측하는 당선자는?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