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방송광고 활성화를 위한 두 가지 전략/최성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기고] 방송광고 활성화를 위한 두 가지 전략/최성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입력 2016-03-10 22:54
업데이트 2016-03-11 0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당 2억의 기적’, ‘전 세계적인 광고대전’, ‘광고 자체가 매력적인 콘텐츠’, 이 화려한 수식어는 모두 하나의 광고를 가리키는 별칭이다. 바로 미국의 슈퍼볼 광고다.

이미지 확대
최성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최성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2016년 기준으로 30초짜리 광고 한 편의 단가가 60억원이지만 실제 광고 효과는 1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슈퍼볼 광고는 단순히 스포츠 경기에 붙는 광고가 아니라 창의적인 광고를 선보여 전 세계적으로 브랜드를 홍보하려는 기업의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방송광고는 상품 판매뿐만 아니라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 경제 활성화까지 가능케 하며 방송사에는 방송콘텐츠 제작을 위한 핵심 재원이다.

2014년 4월 출범한 제3기 방송통신위원회는 ‘혁신적인 정보통신 생태계 조성’과 ‘중소기업 성장 희망사다리 구축’이라는 국정과제 달성을 위해 방송광고 시장 활성화 정책을 추진해 왔는데,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방송광고 규제 완화이다. 인터넷, 모바일 매체에 비해 규제 수준이 높고, 광고 시간의 총량만을 규제하는 해외 선진국에 비해서도 엄격한 방송광고 규제를 완화했다. 2014년 규제 완화 방안을 발표한 이후 방송광고 총량제 도입 및 확대, 가상광고 허용 프로그램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방송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복잡하고 경직적인 방송광고 규제체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정부는 올해도 방송광고 시장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규제들을 재검토하여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둘째, 중소기업 대상 방송광고 지원이다. 방송광고는 중소기업과 중소기업 상품의 인지도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중 하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우수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지도 부족으로 상품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2015년부터 방송광고 제작비의 50%를 지원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또한 방송사, 미디어랩사 등과 협력하여 방송광고 송출비를 70% 할인받게 하고 있는데, 2015년 기준으로 287개 중소·벤처기업들이 447억원의 비용을 절감하였다.

중소기업의 방송광고 제작 및 송출 지원은 중소기업을 방송광고 시장으로 쉽게 진입할 수 있게 하고, 성장한 중소기업은 새로운 광고주가 되어 방송광고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소비자들의 콘텐츠 이용행태 변화로 모바일·인터넷 매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모바일·인터넷광고 매출액이 전체 광고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36%에서 2015년 44%로 상승한 반면 방송광고 매출액은 38%에서 36%로 감소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앞으로도 이러한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방송·신문·인터넷·옥외 등 매체별 광고 규제체계를 종합적으로 재검토하고,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IT기술의 융합 등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신유형 방송광고를 제도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다.

아울러 방송광고를 소비하는 시청자의 시청권을 보호하기 위한 사후 방송광고 관리 및 감독을 더욱 엄격히 할 것이다.
2016-03-11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