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동북아 방역·보건 협력체, 북한 참여 기대한다

[사설] 동북아 방역·보건 협력체, 북한 참여 기대한다

입력 2020-12-30 17:34
업데이트 2020-12-31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에 공동으로 대응하자는 취지로 출범한 동북아 방역·보건 협력체가 어제 첫 실무 화상회의를 했다. 협력체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제안한 것으로 3개월 만에 결실을 봤다. 세계적 보건위기 속에서 이 협력체에는 한국과 미국, 중국 외에도 러시아와 몽골이 참여했다. 일본에도 참가 제의를 했으나 협력체 참여 여부는 더 검토하겠다고 한다. 한일관계가 악화된 상태에서 일본이 한국 주도의 협력체 참여를 꺼리는 것으로 보이지만 코로나 극복이 단일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어려운 만큼 대승적인 차원에서 조속히 참여를 결정하길 바란다.

아쉬운 것은 북한에도 제안을 했지만 응하지 않고 있는 점이다. 북한은 코로나 발생 초기인 1월 말 국경봉쇄를 단행한 이후 문을 걸어 잠그고 제재와 수해 복구 와중에도 코로나 방역에 국력을 쏟아붓고 있다. 북한 관영매체는 코로나 확진자가 단 한 명도 없다고 밝히고 있다. 북한 주장을 믿는다고 하더라도 국제사회와의 협력 없이 몇 년이 걸릴지도 모르는 코로나 박멸에 북한이 단독으로 대응하는 게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은 명확하다.

북한은 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이 공동 방역을 제안한 이후 수차례에 걸친 남측 제의에 일절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했을 때도 공동 방역을 남측이 제안했지만 북측이 받아들이지 않아 북한의 돼지 사육이 괴멸적 타격을 입은 경험을 떠올렸으면 한다. 그야말로 한반도가 생명의 공동체임을 여실히 보여 주는 사례이다.

코로나도 마찬가지다. 궁극적인 코로나 극복 방안은 방역이 아니라 백신 접종과 치료제이다. 지금 국제사회는 백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접종을 시작한 많은 나라가 내년 말까지 집단면역을 목표로 삼고 있다. 백신 확보에 국제사회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북한 당국이 모르지 않을 것이다. 정부도 방역 협력을 명분으로 남북의 문을 열고 북미 대화 재개의 수단으로 삼아서는 북한의 협력을 이끌어 내기 어렵다는 점을 깨닫고 접근법을 바꿔야 한다.

2020-12-31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