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통령과 전문가가 직접 백신 불안·불만 해소해야

[사설] 대통령과 전문가가 직접 백신 불안·불만 해소해야

입력 2020-12-22 20:12
업데이트 2020-12-23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국(8일)과 미국(15일)에 이어 유럽연합(EU) 27개국도 21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을 승인하는 등 세계 주요국이 속속 백신 접종을 시작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내년 2~3월에나 백신을 확보해 접종할 예정이다. 백신 확보가 늦어져 접종이 주요국보다 수개월 늦은 것에 시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불안도 확산되는데 정부의 입장이 오락가락한 탓이다. 정부는 지난 7월 “(백신 확보는) 속도가 중요한 게 아니라 안전이 최우선”이라며 여유를 부렸다. 그러더니 지난 20일에서야 정세균 국무총리는 “7월에는 확진자가 100명 정도라 백신 의존도를 높일 생각을 하지 않았던 측면이 있다”며 ‘판단 미스’를 시인했다.

물론 백신의 부작용은 중요한 문제다. 확진자 수가 적게 유지된다는 보장만 있다면 다른 나라에서 안전성이 검증된 뒤 접종하는 게 유리할 수도 있다. 하지만 늘 최악의 시나리오를 고려하는 게 정부의 본분이다. 만에 하나 감염자가 폭증할 수 있다고 보고 고령자나 의료진, 방역요원 등이 맞을 백신은 최소한 확보해 놨어야 했다는 얘기다. 실제 현재 지역감염 0명인 싱가포르는 이미 백신을 확보했다.

일부 의사는 집단면역을 달성하기까지는 어차피 시간이 걸리는 만큼 조기 백신 확보가 능사는 아니다거나, 검증되지 않은 백신을 확보했다가 돈만 낭비할 수 있다는 등의 논거로 언론 비판이 지나치다는 등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여당 지지자 일부도 백신을 믿을 수 없는데도 언론이 무책임한 보도를 일삼는다며 비판한다. 하지만 미국 등의 백신 제조사는 90% 이상의 효과를 장담하는 데다 실제로 아직 치명적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어제는 조 바이든 차기 미국 대통령이 백신을 접종했으니 안전성은 검증됐다는 얘기다.

정부는 국민이 막연한 백신 불신론에 빠지거나 불안해하지 않도록 지금이라도 정확한 설명을 해야 한다. 잘못한 게 있다면 사과하고 향후 계획을 알려 줘야 한다. 오락가락하는 당국자들 대신 문재인 대통령이 권위 있는 백신 전문가와 함께 직접 국민 앞에 나와 설명한다면 더 신뢰를 줄 것이다.

2020-12-23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