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의연, 기금 내역 투명히 공개해 도약 계기 만들어야

[사설] 정의연, 기금 내역 투명히 공개해 도약 계기 만들어야

입력 2020-05-12 17:36
업데이트 2020-05-13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후원금 사용 회계의 투명성 논란에 휩싸인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측이 그제 기자회견을 열고 제기된 의혹을 조목조목 반박했지만 100% 납득할 만한 해명은 되지 못했다. 시민운동의 정당성과 생명력을 담보하는 힘은 결국 투명성이라는 점에서 어떤 형식으로든 추가 검증을 통해 명명백백하게 의혹이 규명돼야 할 것이다. 정의연 자체 역량이 안 된다면 공평무사한 제3세력에 의한 검증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의 문제제기로 촉발된 이번 논란의 핵심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는 막대한 후원금이 정작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건네지지 않는 등 사용처가 불분명하다는 점이고, 둘째는 정의연 윤미향 전 이사장이 한일 위안부 합의 내용을 사전에 알았는지 여부다. 나머지 하나는 윤 전 이사장 딸의 미국 유학경비 출처 등과 관련된 의혹이다.

정의연 측은 회계 투명성 논란과 관련해 일부 표기에 부정확한 측면이 있었다며 사과했다. 부족한 인력 탓에 편의적으로 실무처리 했을 뿐 어떤 부정도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세부 항목은 공개하지 않아 의혹을 자초하고 있다. 스스로 떳떳하다면 공개하지 못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이제라도 빠짐없이 공개하면 된다. 단순한 회계 실수나 사소한 잘못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윤 전 이사장 관련 의혹도 자료를 첨부해 투명하게 소명하길 바란다.

이번 기회에 정의연이 투명하게 검증돼야 위안부 인권운동의 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일본 제국주의의 인권말살적 전쟁범죄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먼 후세까지 그 실상을 낱낱이 전해 인류사의 교훈으로 삼아야만 한다. 게다가 가해자인 일본 극우세력들은 여지껏 사과는커녕 인정조차 하지 않는 것 아닌가. 정의연과 활동가들이 30년의 헌신적 노력으로 위안부 인권운동을 전개한 공로는 인정돼야 한다. 이제는 폐쇄적 운영과 주먹구구식 회계에서 벗어나 한 단계 발전·승화할 필요가 있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위안부 인권운동이 더욱 강건해지기를 기대한다.

2020-05-13 3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