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제 살리며 ‘코로나 19 긴장’ 끝까지 놓지 말아야

[사설] 경제 살리며 ‘코로나 19 긴장’ 끝까지 놓지 말아야

입력 2020-02-13 17:34
업데이트 2020-02-14 0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확산 대비 철통방역 유지하되 일상 경제생활 막는 공포는 금물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공포가 우리 실물경제를 강타하고 있다. 우리 일생생활을 움츠러들게 하더니 외식과 관광, 숙박 등 국내 소비마저 직격탄을 맞았다. 경제는 심리가 중요한데 이렇게 경제활동 자체가 위축되면 개인은 물론 국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크다. 가뜩이나 침체된 경제가 이번 사태로 더욱 가라앉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크다.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재계 총수들과 간담회를 가진 것도 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사태로 경제의 발목이 잡혀 매우 안타깝다”며 “코로나19 상황 이전에 예정했던 설비투자를 차질 없이 진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국민 역시 어려울수록 기업이 위축되지 않고 경기 활성화에 앞장서며 국가 위기 극복에 나서는 모습을 기대한다.

현재까지 우리의 감염증 방역 시스템은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코로나19를 조심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과도한 공포는 금물이다. 음식점이나 술집, 전통시장을 찾는 발길마저도 끊기면서 고사 직전의 상황으로 몰려 있다. 우리 사회의 취약계층인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들에게 피해가 몰리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다행히 우리나라에서는 입원해 있던 확진환자들이 속속 쾌유한 상태로 병원 문을 나서고 있다. 싱가포르 국제콘퍼런스에 참석했다가 감염된 17번 환자도 완치 뒤 “독한 독감 같았다”는 소회를 밝혔다. 감염자가 다녀간 장소라고 해도 방역 후 1~2일 정도면 바이러스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현재 코로나19 여파로 풀뿌리 상권을 형성하고 있는 자영업 매출이 급감하면서 지역경제가 흔들릴 정도가 됐다. 그보다 더 어려운 취약계층들이 한계상황으로 몰리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어제 정부가 감염증 피해기업에 2500억원을 공급하고 소상공인에게 경영애로 자금 200억원과 지역 신용보증기금을 통해 특례보증 1000억원을 긴급 지원키로 했지만 ‘언 발에 오줌 누기’에 불과하다. 소상공인 관련 예산을 증액하거나 조기 집행해 급한 불부터 꺼야 한다.

발원지 중국에선 확진자가 하루 새 1만 4840명, 사망자가 242명 늘었다. 과거 통계에서 빠졌던 임상진단 환자를 확진 사례에 포함시켰다지만 이런 비상식적 폭증세는 의구심이 남는다. 중국 당국이 의도적으로 이번 사태를 축소해 왔다면 2차 재확산 등의 심각한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도 있다. 마지막까지 방심하지 말고 방역 점검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작은 구멍 하나가 둑 전체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교훈을 귀담아들어야 한다.
2020-02-14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