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실용·중도세력 겨냥한 네 번째 ‘안철수 신당’

[사설] 실용·중도세력 겨냥한 네 번째 ‘안철수 신당’

입력 2020-02-03 20:58
업데이트 2020-02-04 0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철수 신당’(가칭)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신당 창당 선언 다음날인 어제 창당추진 기획단장과 6개 시도당 창당 책임자를 임명했다. 빠른 속도로 창당을 끝내겠다는 의지다. 탈이념과 탈진영, 탈지역의 ‘실용적 중도 정당’을 표방하고 기존정당과의 차별화를 위해 ‘작은정당·공유정당·혁신정당’을 3대 지향점으로 제시했다. 안철수 전 의원으로서는 새정치민주연합, 국민의당, 바른미래당에 이어 네 번째 창당이다.

이념과 지역으로 갈라진 한국 정치의 고질적인 구도를 깨겠다는 그의 의지는 높게 평가할 만하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지지율이 동반 하락하는 가운데 무당층이 늘고 있다. 독선적인 국정 운영으로 비판받는 정부 여당이나 내부 혁신 없이 반사이익만 노리는 한국당의 극우논리에 실망하는 중도 성향의 유권자들이 늘고 있다는 의미다.

극단적 진영 논리에서 벗어나려는 중도 세력이 많다는 것은 정치·사회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하지만 ‘안철수 신당’의 경우 모호하고 불확실한 정치 좌표를 제시하기 때문에 우려가 높다. 안 전 의원은 개인적 필요에 따라 창당하고 소속 정당의 이용가치가 떨어지거나 정치적으로 험난하면 탈당하는 이력을 거듭 보여 왔던 터라 이번 창당 추진에서 진정성이나 무게감이 떨어지고 있다.

사실 중도·실용주의 노선도 새로운 것은 아니다. 2007년 대선 당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재미를 봤던 화두였다. 하지만 당선 이후 중도·실용노선을 뒷받침할 정치철학과 세력의 빈곤을 드러내면서 뚜렷한 족적을 남기지 못했다. ‘안철수 신당’ 역시 보다 명확한 비전과 좌표를 공약으로 제시하지 못한다면 총선용 정당에 그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과거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급조하는 신당이 그렇듯 최소한 기웃거리는 정치철새들의 집결지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020-02-04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