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성장 동력 기대되는 삼성의 비메모리 반도체 투자

[사설] 신성장 동력 기대되는 삼성의 비메모리 반도체 투자

입력 2019-04-24 22:42
업데이트 2019-04-25 08: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전자가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비메모리) 분야 연구개발과 생산기술 확충 등에 총 133조원을 투자하고, 전문인력 1만 5000명을 채용하는 내용의 ‘반도체 비전 2030’을 발표했다. 메모리 반도체 분야 세계 1위인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비메모리 반도체에서도 글로벌 1위를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한국은 D램, 낸드플래시 같은 메모리 분야에선 따라올 적수가 없을 만큼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비메모리 반도체는 아직 취약하다. 세계 메모리 시장 점유율은 60%인 반면 비메모리 시장 점유율은 4%에 불과하다. ‘반도체 굴기’를 내세운 중국(5%)보다도 뒤처졌다. 비메모리 시장 규모는 지금도 메모리 시장의 2배인데 앞으로 5G 이동통신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화하면 그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경제적 부가가치도 비메모리 반도체가 훨씬 크다. 이 때문에 메모리 반도체에 편중된 한국의 반도체 산업을 비메모리 분야로 균형 있게 키워 내는 것은 침체일로인 우리 경제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더는 미룰 수 없는 현안이다. 삼성전자의 이번 투자가 그래서 더 반갑다.

대량생산 산업인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비메모리 반도체는 다품종 소량생산이어서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과의 협업이 중요하다. 삼성전자가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업체) 생산 지원 등 상생협력 방안을 통해 국내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 생태계 강화에 나선 것은 바람직하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설계 능력이 성패를 좌우하는 만큼 고도의 기술력과 창의성을 지닌 전문인력 배출도 필수다. 대학에 반도체학부를 신설해 비메모리 인재를 양성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만하다. 정부의 정책 지원도 빼놓을 수없다. 민관이 긴밀한 공조로 비메모리 반도체를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는 데 전력을 기울이길 바란다.

2019-04-25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