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통령의 혁신성장 행보, 실천 전략으로 이어져야

[사설] 대통령의 혁신성장 행보, 실천 전략으로 이어져야

입력 2019-02-07 17:36
업데이트 2019-02-08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벤처기업인들과 간담회 갖고 다시 한번 혁신성장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간담회에는 1세대 벤처기업인 네이버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 엔씨소프트 김택진 대표, 그리고 기업 가치가 1조원 이상인 이른바 유니콘 기업 대표로 쿠팡의 김범석 대표 등 혁신벤처기업인 7명이 참석했다. 지난 1월 7일 중소·벤처기업인 간담회에 이은 두 번째 벤처기업인과의 만남으로 포용적 혁신성장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문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정부가 혁신포용국가 건설을 목표로 성장의 주된 동력을 혁신성장에서 찾고 있다”는 말로 집권 중반기의 핵심 국정 기조가 혁신성장에 있음을 강조하면서 매출액 1000억원이 넘는 벤처기업들이 600개 이상으로 늘어나는 등 그간의 혁신 성과를 설명하면서도 기업 현장에서 보자면 아직도 아쉬운 점이 많을 것이라며 아이디어를 구하는 자세를 보였다.

대통령의 혁신성장에 대한 의지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벤처기업인들이 체감할 만한 구체적 실천 전략을 정책에 반영하는 일이다. 창조경제를 강조한 박근혜 정부 때에도 창조경제 생태계 구축 등을 강조하며 창업을 독려했었다. 하지만 창조경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 정의에서부터 혼란을 가져오면서 구체적 성과는 찾아볼 수 없었다. 기업인들이 창조든, 혁신이든 제대로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뒷받침을 정부가 하지 않는다면 혁신성장은 또 다른 구호에 그치고 말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은 과학기술의 혁신에 달려 있다. 제조업이나 수출주도형 경쟁력 강화 모델이 한계에 도달한 지금과 같은 저성장 시대에 유니콘 기업들의 혁신 모델이 성장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수소경제 등 3대 기반경제와 신산업을 집중 육성하려면 정부가 성장을 중시하는 정책으로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 정부는 과감한 규제완화 정책으로 혁신성장을 선도하고, 기업은 이를 바탕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2019-02-08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