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5번째 전직 대통령 검찰 소환, 국민은 참담하다

[사설] 5번째 전직 대통령 검찰 소환, 국민은 참담하다

입력 2018-03-14 22:40
업데이트 2018-03-14 2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되풀이돼선 안 될 헌정사 비극… 정치 문화 근본적으로 바꿔야

이명박 전 대통령이 어제 서울중앙지검에 소환됐다. 그는 검찰 청사의 포토라인에 서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드려서 대단히 죄송하다”면서 “저는 오늘 참담한 심정으로 이 자리에 섰다”고 말했다고 한다. 하지만 정작 참담한 것은 전직 대통령이 또다시 검찰에 불려 가는 모습을 바라볼 수밖에 없는 국민이었다. 그는 전두환·노태우·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검찰 조사를 받는 다섯 번째 전직 대통령이 됐다. 보수·진보를 막론하고 임기를 마친 대통령이 줄줄이 검찰 조사를 받는 현실은 그 자체가 헌정사의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이 전 대통령은 검찰에 출두하면서 “하고 싶은 이야기도 많지만 말을 아껴야 한다고 스스로 다짐했다”고도 밝혔다. 내심 자신에 대한 검찰 수사가 정치보복이라는 주장을 펴고 싶었을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 노무현 전 대통령의 검찰 조사가 있었던 만큼 얼마간의 정치보복 논란은 피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다양한 혐의를 받고 있는 이 전 대통령에 대한 국민의 시선은 그리 녹록지 않다. 무엇보다 검찰 출두 과정에서 그 흔한 지지자들의 시위가 전혀 없었다는 것도 상징적이다.

이른바 권력형 비리를 사법처리하는 과정에 정치적 의지가 개입됐는지 아닌지는 누구보다 국민이 더 잘 판단한다. 지금 이 전 대통령이 받고 있는 범죄 혐의는 뇌물수수, 직권남용, 횡령·배임,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 등 20개 남짓에 이른다. 이 가운데는 이전부터 이어져 내려온 잘못된 관행도 없지 않음을 국민은 모르지 않는다. 문제는 일국의 통치자가 저질렀다고는 상상할 수 없는 혐의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왕조시대에나 있을 법한 매관매직이 실제 이루어진 것으로 수사 결과 드러난다면 정치보복 주장에 손을 들어줄 국민은 거의 없을 것이다.

당연히 이 전 대통령의 경우에도 법원의 확정 판결 이전까지는 무죄 추정의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 그럴수록 이 전 대통령은 검찰 수사에 최대한 협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전 대통령 진영은 검찰 수사 결과를 재판에서 뒤집을 수 있는 법리(法理)를 개발하는 데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지금이라도 사실을 그대로 밝혀 법원이 아니라 국민의 판단을 먼저 구하는 게 순서일 것이다. 그것이 전직 대통령이 취해야 마땅한 자세라고 본다.

이 전 대통령은 이날 “다만 바라는 것은 역사에서 이번 일로 마지막이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고 한다. 전직 대통령이 검찰 조사를 받는 불행한 역사가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는 것은 온 국민의 바람이기도 하다. 대통령에 취임한 이후 통치권의 남용이 얼마나 큰 부작용을 낳는지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례가 증명하고 있다. 나아가 이 전 대통령의 사례는 취임 이후는 물론 이전에도 극도의 도덕성을 갖추지 않으면 안 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결국 우리 정치 문화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가능한 일이다.
2018-03-15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