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운동장 대신 체육관 짓는다고 체력 좋아지나

[사설] 운동장 대신 체육관 짓는다고 체력 좋아지나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교육청이 문학과 예술, 체육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의 ‘2011~2014 서울교육발전계획’을 주 중에 발표한다고 한다. 언론에 비친 발전계획안은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이 그동안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해 온 사업들로 짜여져 있다. ‘곽노현식 청사진’으로 봐도 무방할 것 같다. 물론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이 반색할 내용도 없지 않다. 기초학습 부진 학생을 위해 초등학교에 학습보조 전담강사를 둔다든지, 곽 교육감이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밝힌 것처럼 교사들의 행정업무 부담을 줄여 주기 위해 교무행정전담팀을 두겠다는 것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렇지만 곽 교육감의 의중이 깔린 서울교육발전계획을 들여다보면 박수보다는 걱정이 앞선다. 학교당 한 개의 체육관을 목표로 2014년까지 177개 학교에 추가로 지어 서울시내 학교의 체육관 보유율을 89%까지 높이겠다는 것이 체육교육의 핵심이다. 문제는 체육관을 지을 땅이다. 곽 교육감 취임 이후 체육관이 없는 대부분의 초·중·고교는 운동장을 잘라 실내체육관을 지었다. 체육을 강화한다는 명분으로 학생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을 빼앗은 꼴이 된 것이다. 앞으로 실내체육관을 짓는다며 이 같은 행태가 되풀이될 게 뻔하다.

실내인 체육관에서 할 수 있는 운동과 실외인 운동장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은 다르다. 학생들이 호연지기를 키우기에는 실내보다는 운동장이 낫다. 식민지 시절 홍콩엔 운동장이 있는 학교가 거의 없었다. 체력이 커지는 것을 우려한 영국의 식민지 정책의 일환이었다는 게 정설이다. 우리나라 초·중·고교생들의 체격은 예전보다 훨씬 커졌지만 체력은 그 반대라는 조사결과가 얼마 전에 나왔다. 서울시교육청이 집계한 2000~2009학년도 서울교육통계연보가 출처다. 학생 1인당 체육장 면적이 줄어든 것이 체력 저하의 원인으로 분석됐다. 운동장을 줄여 체육관을 짓는다면 똑같은 잘못을 범하게 된다.

2011-07-25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