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평창쾌거 이후… 이제 차분히 성공을 준비하자

[사설] 평창쾌거 이후… 이제 차분히 성공을 준비하자

입력 2011-07-08 00:00
업데이트 2011-07-08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창의 2018동계올림픽 유치는 국가적 경사이자 역사적 사건이다. 1988년 서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러냄으로써 대한민국의 국격이 한 단계 올라가면서 국운 상승의 계기가 됐듯이 평창올림픽 개최를 통해 우리나라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디딤돌로 삼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평창 쾌거의 기쁨을 뒤로 미루고, 차분히 성공을 준비하는 자세로 전환해야 한다.

우선 계획된 교통과 시설 인프라를 차질 없이 추진해야 한다.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고 시설 및 경기운영 등과 관련된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가능하면 진행속도를 높여야 한다. 알펜시아리조트 활성화, 원주~홍천~춘천 간 철도 연결, 원주~강릉 간 복선철도 완공, 영동지역 관광산업 활성화 등이 대표적인 현안들이다. 정부·정치권·지방자치단체 등의 적극적인 공조가 대단히 중요하다.

특히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우리가 동계스포츠 중심국으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우리는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만 6개를 따며 종합 5위에 올랐다. 쇼트트랙에서 다소 성적이 기대에 못 미쳤지만, 스피드스케이팅(이승훈·모태범·이상화)과 피겨스케이팅(김연아)에서 사상 첫 금메달을 따내며 빙상 강국의 면모를 과시했다. 하지만 스키 등 설상(雪上)과 썰매 종목 등에서는 출전조차 하지 못한 게 우리의 현실이다. 전 종목에서 뛰어난 기량을 가진 선수들을 육성해 평창동계올림픽에서는 마음껏 경쟁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전 종목에 꿈나무-청소년-국가대표 후보-국가대표 등 4단계 혹은 3단계 체제로 ‘선수육성 프로젝트’를 적극 가동해 나갈 필요가 있다. 외국인 지도자와 전문가들을 적극 영입하는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더 중요한 것은 개최 이후다. 1976년 몬트리올과 1992년 바르셀로나 하계올림픽은 과잉투자로 올림픽이 끝난 뒤 도시가 파산 직전까지 내몰렸다. 평창올림픽은 64조 900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고 하지만 수치에 함몰돼서는 안 된다.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렀다 하더라도 이후 관광객 유치 등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고, 인프라 활용도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평창이 대회 이후에도 유치만큼이나 성공적인 올림픽 사례로 기록되려면 지금보다 훨씬 더 정교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2011-07-0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