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회도 영수회담도 우선 열어야 한다

[사설] 국회도 영수회담도 우선 열어야 한다

입력 2011-02-08 00:00
업데이트 2011-02-08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집권 여당과 제1 야당의 원내대표 간에 합의된 임시국회 개원과 영수회담 개최가 불투명해졌다. 무엇보다 영수회담을 둘러싸고 민주당 손학규 대표 측은 대변인을 통해 합의는 이미 깨진 것이라고 하고, 청와대도 냉랭한 분위기다. 한나라당 김무성,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가 두달 만에 열어놓은 대화의 문이 다시 닫힐지도 모를 지경에 빠졌다. 모처럼 이뤄낸 대화 정치가 끊겨서는 안 된다. 임시국회는 합의대로 14일 열어야 하며, 영수회담도 이번 주든 그 이후든 개최돼야 한다.

두 원내대표의 합의를 놓고 여·야·당·청 4자 간에 좌충우돌하는 형국이 벌어졌다. 무엇보다 두 원내대표는 권한 밖인 영수회담에 대해 시한까지 제시하며 합의해 월권하는 모양새가 되어 버렸다. 결과적으로 청와대와 민주당 손학규 대표 측이 딴소리를 하도록 빌미를 제공한 셈이 됐다. 두 원내대표가 행여 한건주의식 사고에 젖어 ‘깜짝쇼’를 벌인 것인지 의심이 들 만큼 의욕이 앞섰다. 그래서 좀 더 정교하게 풀어 나갔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지만 그들을 탓할 때가 아니다. 여야 지도부는 노출된 리더십의 위기, 즉 소통 부재를 극복하는 게 먼저다.

손 대표 측은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 및 유감 표명 요구에서 입장 표명으로 유연해졌다. 여기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민주당이 문제 삼는 예산안 강행 처리의 주체는 엄연히 한나라당과 박희태 국회의장이며, 따라서 책임도 그쪽으로 귀결되는 것이다. 김 원내대표가 사과하고 박 의장도 유감 표명을 하는 정도로 나오면 민주당도 한발 물러서는 게 현명한 길이다. 청와대 측도 대통령의 한마디가 여당에는 강행 처리하라는 지시나 압박으로 들릴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 한결 수월하게 풀어갈 수 있다. 이 대통령이 강행 처리는 부적절하다거나, 이제는 없어져야 한다는 정도로 입장을 밝히는 자세도 필요하다.

두 원내대표가 ‘선(先) 영수회담 후(後) 임시국회’로 합의한 대로 성사되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굳이 순서에 매달릴 필요는 없다. 해법은 각자 제 위치에서 소임을 다하는 것이다. 임시국회는 두 원내대표의 소관 사항이므로 약속대로 열리면 된다. 영수회담은 이 대통령과 민주당 손 대표의 몫이므로 양측 간에 실무접촉을 통해 성사시키면 될 일이다. 양측 간의 실무 채널이 가동돼 다행이나 더 부지런히 움직여야 한다.
2011-02-0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