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년의 소통 가게] 코로나 방역과 추석

[윤석년의 소통 가게] 코로나 방역과 추석

입력 2020-10-06 17:48
업데이트 2020-10-07 04: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석년 광주대 교수
윤석년 광주대 교수
추석은 음력설과 함께 가장 큰 명절이다. 1년에 두 번 큰 명절에는 차가 막히더라도 양손에 선물 꾸러미를 들고 다소 설레는 마음으로 고향이나 부모를 찾아뵙는다. 특히 타지에 나가서 취업이나 창업 등의 성취를 올린 자식들은 조상에게 절하고, 고향의 부모님이나 친지들에게 자그마한 정성을 전하는 훈훈한 풍경이 연출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번 추석은 전대미문의 코로나19로 인해 예전의 명절 분위기와는 확연히 다른 느낌이었다. 정부 당국은 추석 연휴 대이동 자제를 위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를 없앴고, 휴게소에서 식사를 금지하는 등 감염 방지를 위한 다양한 선제조치들을 취했다. 또 국립묘지 성묘를 사실상 온라인 참배 서비스로 대체하는 등 성묘 참배를 최대한 자제토록 했다. 연휴 기간 고속도로 막힘도 예년에 비해 대폭 줄어들었다. 평소 주말보다 덜 막혔다는 뉴스도 전해졌다. 이런 분위기를 의식했는지는 몰라도 연로하신 부모님들 중 혹여 코로나19에 감염될까 봐 자식들의 추석 이동을 되도록 말리는 분들이 많았다. 농촌의 경우 외부 출향인사의 추석 방문이나 성묘를 되도록 삼가도록 신신당부했다.

코로나19의 진앙지였던 중국에서 춘제 대이동을 통해 감염이 확산됐다는 사실을 볼 때 추석 명절 대이동은 코로나 확산의 위험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분명히 자제할 필요는 있다. 또 코로나의 감염 가능성은 신분의 고하는 물론 혈연도 따지지 않는다. 지난 주말 미국 대통령인 트럼프도 코로나 감염으로 병원 신세를 졌다.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가족 만남 과정에서 무증상 감염된 부모 혹은 자녀가 가족에게 퍼트린 사례도 있었다. 반면에 상당수 가족들은 귀성 대신에 국내 휴양지에 모여 조촐한 가족 모임을 갖기도 했다. 제주와 동해안 등 인기 있는 국내 휴양지 숙박시설 예약률은 90%를 넘어섰다. 코로나 감염 가능성 때문에 추석 대이동을 삼가고 가족과의 만남 자제 요청이 무색할 정도였다.

그렇다고 이들을 무조건 나무랄 수는 없다고 본다. 추석 명절 차례를 지내기 위해 직계가족이 만나는 것조차 눈치를 보게끔 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이 무척 안타깝다. 정부가 과하다 싶을 정도의 선제조치를 취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렇지만 선제조치들이 자칫 추석이 갖는 의미에 대해 왜곡된 인식을 갖게 할 가능성은 없는지 곰곰이 따져봐야 한다. 추석 연휴에 귀성 대신 여행을 택한 가족들이 주변의 따가운 눈총을 지나치게 의식한 나머지 오히려 여행 일정을 숨기는 부작용도 발생한다. 도리어 가족은 물론 휴양지나 관광지 또는 식당에서 서로 간 방역 지침을 잘 지켜 최소한 감염 확산을 억제하도록 당부하고 설득하는 방역과 추석의 의미 간에 아슬아슬한 경계를 유지하는 편이 낫다고 본다.

자칫 추석 대이동에 따른 코로나19의 확산 가능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아예 추석 대이동을 전적으로 금지하는 ‘셧다운’을 한 것만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셧다운’ 없이 추석 연휴를 보내려면 만나는 사람들의 수를 최소화하고 만남의 시간을 짧게 한다든지 아니면 식사를 간단히 하는 등 가족 스스로 솔선수범의 자세를 갖도록 권유했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다.

이번 추석에는 온 국민이 한편으로 정부의 자제 요청을 수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대다수 국민이 가족들과 ‘슬기로운 추석 연휴 보내기’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추석 연휴 이후 코로나의 확산 여부는 앞으로 열흘을 더 지켜봐야 알 수 있다.

올해도 추석은 어김없이 왔다 갔지만 왠지 추석 같지 않은 느낌이다. 방역의 성공과 명절의 의미를 함께 살리는 아슬아슬한 추석이 내년에는 이어지지 않기를 학수고대한다.
2020-10-07 3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