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경신’과 ‘갱신’의 쓰임/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경신’과 ‘갱신’의 쓰임/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06-17 20:52
업데이트 2020-06-18 02: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S 2TV 주말드라마 ‘한 번 다녀왔습니다’가 지난 14일 31.6%로 자체 최고 시청률을 경신했다.’ ‘지난 5일 나스닥이 장중 9845.69포인트를 기록하면서 신고가를 갱신했다.’

위 문장에 사용된 ‘경신’과 ‘갱신’의 쓰임은 하나는 맞고 하나는 틀리다. 한자 ‘更新’은 ‘경신’ 또는 ‘갱신’으로 읽을 수 있다. ‘更’이 ‘고칠 경’과 ‘다시 갱’ 두 가지의 음훈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장에 따라 구분해 써야 한다.

먼저 ‘경신’은 기록경기 따위에서 종전의 기록을 깨뜨리거나 어떤 분야의 종전 최고치나 최저치를 넘어서는 경우에 쓰인다. ‘마라톤 세계 기록 경신’, ‘주가 연중 최고치 경신’ 등과 같이 체육이나 경제 관련 글에서 사용된다.

‘갱신’은 주로 법률관계의 존속 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일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전세 계약 갱신’, ‘여권 갱신’ 등처럼 쓰인다. ‘시스템 갱신’ 등과 같이 컴퓨터에서 기존 내용을 변동된 사실에 따라 변경·추가·삭제하는 일이라는 의미로 쓰일 때도 ‘갱신’을 사용한다.

‘경신’이 이미 있던 것을 고쳐 새롭게 한다는 뜻으로 쓰이는 경우에는 ‘갱신’으로 바꾸어 써도 된다. 즉 ‘노사 간에 단체 협상 경신 문제를 놓고 협상을 벌였다’나 ‘그의 이론은 논리학과 철학에 경신을 일으켰다’고 할 때의 ‘경신’은 ‘갱신’으로 바꾸어도 무방하다. ‘종묘 개량 경신’ ‘환경 경신’ 등도 ‘종묘 개량 갱신’, ‘환경 갱신’으로 바꾸는 게 가능하다.

oms30@seoul.co.kr
2020-06-18 29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