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안 되’로 쓰면 ‘안 돼’/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안 되’로 쓰면 ‘안 돼’/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02-19 21:34
업데이트 2020-02-20 0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몇 년 전 한 포털사이트에서 한글날을 맞아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아본 맞춤법 순위를 공개한 적이 있다. 맞춤법 검사기의 데이터 분석 결과 사람들은 ‘안 돼’와 ‘안 되’를 가장 많이 검색했다. ‘안 돼요’와 ‘안 되요’가 두 번째로 많았다. 자주 사용하는 말인데도 ‘되’와 ‘돼’의 발음이 비슷해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용언은 어간 뒤에 어미가 붙는 방식으로 쓰인다. ‘되다’의 어간인 ‘되’ 역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다. 문장을 어간인 ‘되’로 끝낼 수 없다는 말이다. ‘?고, -니, -어’ 등의 어미가 붙어서 ‘되고, 되니, 되어’로 활용된다.

‘돼’는 ‘되어’의 줄임말이므로 ‘되어’로 바꿨을 때 어색하지 않으면 ‘돼’를 쓰는 게 맞다.

‘되다’의 부정 표현인 ‘안 되다’도 마찬가지다.

‘안 되-’ 뒤에 어미 ‘-어’가 붙으면 ‘안 되어’로 활용되고, 이것을 ‘안 돼’와 같이 줄여 적을 수 있다.

한편 ‘하다’의 어간 ‘하-’에 어미 ‘-여’를 쓰는 경우 이를 줄여 ‘해’로 쓸 수 있다. 하여서/해서, 하였다/했다, 하였으니/했으니…. 여기서 어미 ‘-여’는 어미 ‘-어’의 이형태이므로 ‘돼’를 쓰는 경우와 ‘해’를 쓰는 경우가 문법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해’를 써야 할 자리에는 항상 ‘돼’를 쓴다고 할 수 있다. ‘하’는 ‘되’와, ‘해’는 ‘돼’와 평행하다고 볼 수 있다.

‘안 해’를 ‘안 하’로 쓰지 않는 것처럼 ‘안 돼’도 ‘안 되’로 사용하면 안 된다.
2020-02-20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