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窓] 생활용품 안전성 검사 강화해야/설대우 중앙대 약대 교수

[생명의 窓] 생활용품 안전성 검사 강화해야/설대우 중앙대 약대 교수

입력 2016-05-13 18:04
업데이트 2016-05-13 18: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설대우 중앙대 약대 교수
설대우 중앙대 약대 교수
대표적인 가습기 살균제 물질인 폴리헥사메틸구아니딘(PHMG)은 샴푸, 물티슈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사용될 정도로 안전한 물질로 알려졌었다. 그런데 왜 가습기에 사용되면서 이토록 심각한 참사를 유발한 것인가. 이런 이유로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질문이 폭증하고 있다.

독성학적, 병리학적 관점에서 보면 특정 물질의 안전성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개념이 있다. 첫째는 양이다. 흔히 ‘농도’로도 표시되는데 물질 자체의 양일 수도 있고 사람에게 흡수됐을 때 몸 안으로 들어간 양일 수도 있다. 독성이 있는 물질이라도 독성을 유발할 수 있는 양보다 훨씬 적게 몸 안으로 들어갔다면 일반적으로 심각한 문제는 일으키지 않는다. 둘째는 성상(액체, 기체, 고체 등 물질의 상태)이다. 액체로는 아무런 독성이 없는데, 기체 또는 미세한 고체 입자로는 심각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석면은 액체 상태일 때는 몸 안으로 흡수되거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하지만 고체 상태의 미세한 먼지 입자로 폐에 흡입될 때는 폐암을 일으키는 1급 발암 물질이 된다.

셋째는 전달경로(또는 인체가 접촉한 경로)다. 같은 물질이라도 피부에는 아무런 독성이 없는데 폐에 심각한 독성을 유발하는 것이 예다. PHMG든 석면이든 피부에 접촉할 경우는 유의할 만한 독성이 없지만 폐에 흡입될 때는 상당한 독성을 나타내는 것과 같다. 그래서 피부에 안전하다고 해서 다른 접촉 경로에서도 안전하다고는 절대 말할 수 없다.

피부는 매우 치밀하고 단단한 구조로 돼 있다. 피부 표면은 각질층이라는 피부세포 보호 물질로 덮여 있고 여러 층의 보호막이 더 있다. 그 때문에 외부 물질이 피부세포에 도달하기는 매우 어렵다. 하지만 폐는 피부와 완전히 다른 구조로 돼 있다. 폐는 끊임없이 산소를 핏속으로 녹여 들여야 하므로 세포와 외부 물질의 접촉이 매우 직접적이다. 폐를 피부에 빗대어 설명한다면 각질층을 포함한 외부 보호막을 다 걷어낸 상태의 피부 정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 독성 물질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기본적으로 세정제는 피부만 접촉할 경우는 피부 구조를 고려하건대 충분히 안전하다. 하지만 세정제는 기본적으로 비누 성분으로 돼 있어 단백질을 녹이고 세포 조직을 파괴할 수 있으므로 폐로 흡입할 때는 상당한 독성이 있을 수 있다.

표백제는 활성산소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활성산소는 반응성이 커서 표백뿐 아니라 강력한 살균력도 지니고 있다. 활성산소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것이 과산화수소 용액이다. 피부 상처에 살균제로 사용되는데 농도가 옅으므로 피부에 큰 부작용은 없다. 하지만 기체로 흡입하게 되면 매우 심각한 독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잘 알려진 이 물질이 가습기 살균제로 사용되지 못한 이유다. 그 때문에 표백제로서 활성산소를 배출하는 제품들은 다룰 때 흡입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간단히 말해 우리 몸에서 피부는 매우 견고하지만 안구나 폐, 그리고 구강에서 항문에 이르는 경로에 있는 부분들은 연약한 조직이다. 이런 연약한 조직에 접촉하는 물질들은 선택할 때 안전에 매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전문지식이 부족한 일반 소비자들이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물질에 대해 안전성 여부를 세세히 따지는 건 불가능하다. 정부 당국이 반드시 안전성을 검증해야만 하는 이유다. 지금부터라도 정부는 국민 안전에 대해 더 큰 책임 의식을 가져야 한다.
2016-05-14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