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폭리? 아니요 리스크입니다/김영준 작가

[2030 세대] 폭리? 아니요 리스크입니다/김영준 작가

입력 2019-07-25 17:44
업데이트 2019-07-26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영준 작가
김영준 작가
역사적으로 상업은 리스크를 감수하려던 사람들에 의해 이뤄져 왔다. 과거의 상업이 어떻게 이뤄져 왔을지를 상상해 보자. 지금이야 시장의 정보 교환이 빨라 가격 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지만 과거엔 경험과 소문에 의존해야 했다. 모두가 그 소문을 따라 몰려든다면 손실을 입으며 그 소문이 사실과 다르다면 더더욱 큰 손실을 입는다.

국가의 행정력과 통제력이 약했던 과거엔 그만큼 도둑과 강도가 넘쳐났고 가치 있는 상품을 운송한다는 것은 언제든 습격받을 수 있다는 위험을 의미하기도 했다. 배를 이용한 운송도 마찬가지. 16~17세기쯤 유럽에서 인도로 향하는 무역 항해에서 승무원의 3분의1은 항해 중에 사망했다. 악천후는 말 그대로 재앙이었고 물건을 수송하는 배나 동물을 손실하는 것은 치명적인 손실 그 자체였다.

이렇게 손실의 위험이 크니 상업을 통해 거래되는 상품들도 비쌀 수밖에 없었다. 손실을 입고서도 이익을 내려면 그만큼 많은 이익을 붙이지 않으면 안 됐던 것이다. 초기 무역품들이 사치품 위주였던 것도 그러한 이유가 있었다.

한편으로는 이 리스크를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기업의 등장, 해상보험의 탄생, 항해술의 발전, 선박의 개선 등이 이루어지며 상업의 리스크는 과거보다 감소했다. 여기에 더해 국가의 행정력과 군사력이 개선돼 무역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되면서 리스크는 더더욱 감소했다. 18세기 이후 주된 무역품이 면화, 설탕, 커피 등의 보편상품으로 확장될 수 있었던 것은 과거보다 상업의 리스크가 감소하면서 이익을 붙이기 어려운 보편상품도 충분히 시장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처럼 부담해야 할 리스크가 클수록 상품의 마진은 커지고 리스크가 줄어들수록 마진은 감소한다. 따라서 어떤 상품의 마진이 크다면 해당 상품은 고마진을 붙여야 할 만큼 거래에서 발생하는 위험성이 크다는 것이다.

어떠한 상품이 폭리라는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원가 공개에 대한 이야기도 같이 나온다. 그러나 아쉽게도 원가는 거래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모두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리스크란 게 보이지 않는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거래가 실패 없이 이뤄진다면 고마진을 폭리라고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실패와 손실의 위험이 전제되는 순간 폭리는 성립할 수 없는 단어가 된다.

마진이 곧 리스크란 점을 다시 떠올려 보자. 어떤 거래의 폭리와 적정 이윤을 판단하는 것이 과연 쉬운 일일까? 거래자가 부담하는 보이지 않는 리스크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없다면 폭리도 적정 이윤도 모두 틀린 추정일 뿐이다.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상업인들이 때로 목숨까지 걸어가며 상업에 종사했던 것은 위험하긴 해도 평균적인 농사일을 하는 사람보다 나은 삶을 누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상업인들은 평균보다 나은 삶을 위해 리스크를 감수했다. 현대의 상업인들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2019-07-26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