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오르다’와 ‘올리다’/이경우 어문부장

[말빛 발견] ‘오르다’와 ‘올리다’/이경우 어문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9-06-26 17:26
업데이트 2019-06-27 0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건값이 올랐다.” 물건값을 올린 주체가 없는 문장이다. 굳이 주체를 밝힐 필요가 없는 구조로 돼 있다. “물건값을 올렸다.” 누가 물건값을 올렸는지 밝혀야 하는 문장이다. 이런 형태보다 ‘올랐다’는 식의 표현이 더 많이 보인다. 여기에 더 익숙해져 간다.

물건을 파는 쪽에서는 가격을 올리고 싶은 마음이 크다. 호시탐탐 기회를 엿본다. 감춘 마음을 겉으로 드러낼 일은 없다. 그러기엔 장삿속만 드러내는 것 같아 부담이 크다. ‘올려’ 놓고 ‘올랐다’고 한다. 파는 쪽의 언어는 대개 이렇다.

‘올랐다’고 해야 ‘올린’ 책임에서 조금 자유로워진다.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는 의미가 바닥에 깔린다.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그리됐다는 항변이기도 하다. 물건을 사가는 사람들 사이에서 ‘올렸다’는 사라지고, ‘올랐다’만 돌아다니길 바라는 건 당연하다. 물건만 파는 게 아니다. ‘올랐다’도 같이 판다. ‘올랐다’는 다분히 상업적인 언어가 된다.

물건만 가져와야 하는데 그러지 않는다. 말이 붙어 있는 줄 모른다. 자신도 몰래 파는 쪽의 이익을 대변한다. 물론 ‘올린’ 게 아니라 정말 ‘오른’ 것일 때도 있다. 값이 오른 건지, 값을 올린 건지 구별해야 한다.

wlee@seoul.co.kr

2019-06-27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