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코로나19가 침방울로 전파된다면 밀접 접촉의 빈도를 줄여야 그 전파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단순히 밀도, 곧 공간의 면적당 사람 수를 낮추는 것만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밀도와 밀접 접촉이 꼭 비례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 공간에 있는 사람들이 모두 자기 자리에 고정돼 있는 것이 아니어서 사람들 사이의 거리가 계속 바뀌기 마련이므로 밀도가 사람들 사이의 물리적인 접촉 빈도를 말해 주지 못한다. 특히 수용 인원이 많은 큰 공간에서는 밀도 자체가 그리 높지 않더라도 출입문이나 화장실 같은 공용공간 앞에서 밀접 접촉이 빈번하게 일어나곤 한다.
그럼 대형 공간은 코로나19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가? 내부에서 사람들의 이동이 자유로운 대형 공간은 그럴 수밖에 없다. 그러면 코로나19 사태가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되고 일정 시간 뒤에 또 다른 감염병이 창궐한다면 대형 공간을 갖춘 교회, 카페, 공연장, 경기장 등의 시설은 살아남기 힘들어질까? 그럴 때마다 문을 닫아야 하니 지금의 공간체계를 유지하면 대형시설은 도태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그러나 방책은 있다. 그것은 하나의 큰 공간을 적절한 크기로 분절해 모듈화하는 것이다. 모듈이란 출입구와 화장실 등의 공용시설을 별도로 갖춘 일정한 크기의 공간 단위를 말한다. 모듈의 경계를 벽체로 완전히 차단하면 각각의 모듈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모듈 사이에 투명하고 낮은 이동식 칸막이를 설치해 동선만 차단하고 시선과 소리, 그리고 공기의 흐름은 소통되도록 하면 여러 개의 모듈을 묶어 하나의 대형 공간처럼 이용할 수도 있다. 후자의 방식을 적용해 보자.
대형 커피숍의 경우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하나의 큰 매장을 별도의 출입구, 주방, 화장실 등을 갖춘 여러 개의 모듈로 재구성하면 일정한 수의 집단으로 나뉜 많은 고객들이 대형 커피숍의 개방감과 활기를 느끼면서 커피를 즐길 수 있다. 대형 공연장이라면 하나의 큰 객석을 별도의 출입구와 화장실 등 지원 공간을 갖춘 여러 개의 모듈로 재구성함으로써 일정한 수의 집단으로 나뉜 많은 관객들이 하나의 무대에서 일어나는 공연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다. 이런 대형 커피숍이나 공연장의 감염병 전파 위험도는 하나의 모듈에 해당하는 작은 커피숍이나 공연장의 그것과 같다.
이런 방식에는 또 하나의 이점이 있는데, 그것은 많은 사람과의 접촉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환경심리학의 연구에 따르면 같은 밀도일 경우 작은 공간보다 큰 공간에서, 곧 한 공간에 있는 사람 수가 많을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타인에게 적대감을 표출한다고 한다.
대형 공간을 적절한 크기의 모듈로 분절하면 공간의 이점을 누리면서 감염병 전파의 위험은 낮추고, 또한 많은 낯선 사람이 주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니 토끼 두 마리가 아니라 세 마리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
머지않아 백신과 치료제가 보급돼 코로나19 감염의 위험도가 낮아지면 모듈의 경계를 이루던 칸막이를 제거하고 출입구도 하나만 사용함으로써 이전의 공간 이용 방식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섣부르게 뉴노멀을 들먹이는 것이 아니라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갈 수 있는 방식으로 위기에 대응하는 일이리라.
2020-09-07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