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21세기 리더십과 벌떼경영론/기옥 금호건설 사장

[CEO 칼럼] 21세기 리더십과 벌떼경영론/기옥 금호건설 사장

입력 2011-02-14 00:00
업데이트 2011-02-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기옥 금호건설 사장
기옥 금호건설 사장
21세기를 맞이한 지도 꼬박 10년이 지났다. 새로운 세기에 들어서면서 기업경영 환경과 리더십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어닥쳤다. 과연 지금 시대가 요구하는 진정한 리더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21세기 초기 10년을 가장 화려하게 장식한 미국의 정보통신(IT) 기업 애플. 아이폰과 아이패드로 대표되는 변화와 혁신의 물결은 단순히 통신업계의 트렌드 변화를 넘어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문화마저 바꿔 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 애플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희귀암 치료를 위해 자리를 비운 최고경영자(CEO) 스티브 잡스의 공백으로 주가가 곤두박질치면서 ‘잡스 없는 애플’의 미래가 걱정거리로 떠올랐다.

‘슈퍼스타 CEO’, ‘제왕적 CEO’로 안팎을 호령하던 한 사람의 공백이 수만명의 유능한 직원들이 일하고 있는 거대 기업의 근간마저 흔들고 있는 것이다.

기업을 경영하는 한 사람으로서, 애플과 잡스의 예를 보면서 오늘날 필요한 리더십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다시 한번 하게 된다.

‘벌의 생태학’에서 그 해답의 열쇠를 찾았다. 벌은 군집생활을 하는 개체로, 여왕벌·수벌·일벌로 계층이 구성돼 있다. 이들은 단단하고 체계적이며 효율적으로 만들어진 벌집에 살아가며 수천년을 영속하며 세대를 유지한다.

일벌은 꿀을 모으기 위해 잠시도 쉬지 않고 하루에 수백 킬로미터를 날아다닌다. 공유된 신호체계인 춤을 통해 서로에게 꿀의 위치를 알리고 다시 꿀을 얻기 위해 먼 거리를 날아간다. 강한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일벌들은 단 한 마리도 방관하거나 낙오하지 않는다. 가장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조직의 일관된 목표(꿀)를 달성하는 것이다.

벌의 군집 중 단 한 개체에 불과한 여왕벌은 화려해 보이는 겉모습과는 달리 일평생 번식만을 한다. 수벌은 교미를 통해 여왕벌이 산란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데, 여왕벌은 많게는 하루에 무려 2000개의 알을 낳기도 한다. 태어나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조직의 존속을 위해 산란에만 집중하는 여왕벌의 희생 덕분에 일벌들은 오로지 꿀을 얻는 데만 열중한다. 위부터 아래까지 맡은 바 책임을 다하는 공동체의식은 벌의 군집이 오래도록 살아남는 기반과 토대가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벌은 꿀과 로열젤리, 밀랍 등 여러 가지 양봉 생산물들을 끊임없이 만들어내고 인간들은 이를 이용해 또 다양한 상품들을 재생산한다. 자신들이 이뤄낸 성과가 그들만의 생존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에 이로운 결과물을 제공하는 상생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벌의 생태학을 통해 알아본 ‘벌떼경영론’의 요체는 바로 이것이다.

일평생 지속되는 산란의 고통을 안고 조직을 위해 헌신하는 여왕벌의 솔선수범과 희생정신은 진정한 리더가 갖춰야 할 덕목이다. 기업의 최고경영자는 ‘군림하는 자’가 아닌 조직의 비전과 목표를 향해 ‘함께 뛰는 자’가 돼야 한다. CEO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이 모두 일벌의 정신으로 뛰는 기업만이 미래가 있다.

빌 로빈슨은 저서 ‘리더여, 내려오라’에서 경영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조언하고 있다. “틈을 없애고, 함께 어울려라.” “열린 마음으로 투명하게 이끌어라.” “남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라.”

CEO는 ‘슈퍼스타’도 ‘제왕’도 아니다. 권위의식을 떨쳐버리고 구성원들에게 먼저 마음을 열고 다가가면 조직은 더욱 단단하게 뭉쳐 강력한 공동체로 재탄생한다. 이를 통해 창조와 혁신의 에너지는 끊임없이 재생산된다.

즉 21세기가 원하는 리더십의 요건은 솔선수범과 희생정신, 그리고 소통인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며 탄탄한 내공을 쌓아 온 국내 기업들이 현재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10년, 100년, 아니 수백, 수천 세기를 거쳐 존립하기 위해서는 ‘벌의 생태학’이 주는 교훈을 차근차근 곱씹어봐야 한다.
2011-02-14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