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라이프스타일에 주목하라/김화종 강원대 컴퓨터정보통신과 교수

[지방시대] 라이프스타일에 주목하라/김화종 강원대 컴퓨터정보통신과 교수

입력 2013-07-02 00:00
업데이트 2013-07-02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화종 강원대 컴퓨터정보통신과 교수
김화종 강원대 컴퓨터정보통신과 교수
신문을 보면서 하루를 시작하던 예전 세대와 달리 요즘은 스마트폰을 열어 보면서 하루를 시작한다. 일정, 이메일, 일기예보를 확인하는 것은 기본이고 빠른 길을 찾기 위해 내비게이터를 켠다. 신문, 음악, 드라마와 영화도 버스나 지하철에서 즐긴다. 이렇게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은 스마트폰으로 크게 바뀌고 있다.

개인과 대중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는 다시 생활 전반에 영향을 준다. 여행, 쇼핑, 음식 그리고 일하는 방식도 달라지고 있다. 최근 커피숍이 늘어난 것도 인터넷을 즐기는 라이프스타일 변화 중 하나다. 커피가 보급되기 전에는 술에 취해 지내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앞으로는 라이프스타일 분석 기술이 스마트폰 앱에 반영되어 다음과 같은 서비스도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 아침 시청 근처에서 집회 행사가 있으니 (평소에 가던 길이 아닌) 우체국 옆길로 돌아서 가세요”, “지난주에 개봉한 영화가 있는데 가족과 같이 보면 좋겠네요. 예약할까요?”, “지금 찾아가려고 하는 병원 의사는 당신 스타일하고는 맞지 않을 것 같네요” 등 점점 똑똑한 서비스가 예상된다.

미국의 영수증 마케팅사인 카탈리나는 1억명 이상 소비자들의 구매 이력을 상세히 분석하여 슈퍼마켓에서 소비자가 계산을 할 때 그 사람에게 현재 가장 적합한 할인 쿠폰을 발행한다. 미국 대부분의 대형 슈퍼마켓들이 자사 고객의 민감한 쇼핑 정보를 카탈리나 사에 제공하는 이유는 종합적인 소비자 분석을 하기 위해서이다. 고객은 여러 슈퍼마켓을 돌아다니기 때문에 자기 가게의 쇼핑 기록만 봐서는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 전 세계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회사는 구글이다. 그럼에도 구글은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더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잉그레스라는 ‘게임’을 만들어 보급했다.

지금까지 빅데이터 분석은 데이터를 보유한 기업이나 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앞으로는 개인화된 빅데이터 활용 시대가 될 것이다. 기업의 데이터 분석 목적이 어떤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라면, 개인은 빅데이터 활용으로 어떤 회사, 기관, 병원이 나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지를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여 파악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는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정확히 파악하고 만족하게 해주는 비즈니스가 성공할 것이다. 쿠폰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자동으로 쿠폰이 적립되고 할인까지 되게 해야 한다. 종이 쿠폰 10장을 오려서 가지고 오게 해서는 경쟁력이 없다. 건강에 신경을 많이 쓰는 타입의 고객에게는 새로 나온 건강정보를 추천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미래경제에서 앞서 나가려면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장기적인 한국인의 생활습관 변화와 단기적인 사회적 이슈가 어떻게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개인과 사회의 건강, 안전한 생활에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2013-07-02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