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체르노빌 원전 사고 25주년 앞두고/박종효 모스크바대학 한국학센터 명예교수

[기고] 체르노빌 원전 사고 25주년 앞두고/박종효 모스크바대학 한국학센터 명예교수

입력 2011-04-06 00:00
업데이트 2011-04-06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86년 4월 26일 새벽에 발생한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 사고 25주년이 눈앞이다.

이미지 확대
박종효 모스크바대학 한국학센터 명예교수
박종효 모스크바대학 한국학센터 명예교수
러시아·우크라이나·벨라루스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를 기념하는 대규모 국제학술대회를 올해 개최할 예정이다. 러시아 언론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재판이라며 대서특필했다. 원자력 전문가들은 체르노빌보다 더 큰 피해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고하면서 피해 규모는 예측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체르노빌 사고 당시는 소련 공산당 시절이라 피해 정보가 통제돼 외부에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제 점차 진실이 밝혀지고 있다. 우크라이나·벨라루스·러시아 3개 국가에 한정되지 않고 사고 지역에서 가까운 유럽에도 큰 피해를 주었다는 것이다. 사고 원전에서 발생한 다량의 수증기와 방사성 침전 물질이 구름을 형성해 북쪽으로는 스위스에서, 서쪽으로는 터키와 그루지야, 그리고 그리스와 유고슬라비아에까지 미쳤다고 한다.

러시아 그린필드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유럽에서 약 2만명의 기형아가 출생했으며 우크라이나·벨라루스·러시아 3개국에서는 수만명이 사망하고 수십만명이 장애인이 되거나 불치병에 걸렸다고 한다.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국토의 약 70%가 방사성물질에 오염돼 있으며 오염된 토양은 수백년 또는 1000년이 간다고 한다. 우크라이나 어(語)인 체르노빌을 한국어로 번역하면 ‘쑥’인데 한국의 속담처럼 체르노빌 주변은 ‘쑥대밭’이 되고 말았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 당시 방사성물질의 누출을 막고 발전소를 폐쇄하는 데 소련 군인을 포함해 내외 전문가가 60만명이나 동원됐다.

당시 사고 수습에 나섰거나 사고 지역에 살던 사람의 말을 들어 보면 당국의 권유에 따라 생활도구만 지참해 허둥지둥 각자 희망에 따라 휴양소 등에 보내졌다고 한다. 사고 지역에서 소개된 총인원은 31만 6555명이라고 한다.

사고로 피폭된 사망자는 당일에 1명이었으며 다음 날 또 1명이 사망했다. 사고 후 3개월 만에 31명이 발병해 27명이 사망했고, 15년 만에 80여명이 숨졌다. 특히 발병한 유형을 보면 신장암, 정신병, 피부암, 식도암, 호흡기 질환 환자가 많았다. 러시아에는 식도암 환자가 1만명 이상이라고 알려졌다.

그러나 소개된 사람들은 이 통계를 믿을 수 없다고 말한다.

이런 체르노빌 원전 사고 원인은 110가지나 된다고 하나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당일 4호기 근무자들의 실수였으며, 둘째는 사고에 대비한 장치가 마련돼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현재 전 세계에는 420개의 원자력발전소가 있다. 미국 104개, 프랑스 59개, 일본 55개, 러시아 31개, 영국 23개, 한국이 20개다. 이어 캐나다 18개, 독일 17개, 우크라이나 15개 순이다. 한국은 세계 제6위의 원자력발전소 보유 국가다. 이제 한국도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강 건너 불로 볼 수 없게 됐다.

원전 사고는 일어나면 전쟁과 다름없다. 무엇보다 예방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
2011-04-06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