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 디지털 속의 아날로그 온기/임성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코리아 대표

[글로벌 시대] 디지털 속의 아날로그 온기/임성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코리아 대표

입력 2010-12-20 00:00
업데이트 2010-12-20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는 모두 연결돼 있다. 생태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프리초프 카프라는 ‘생명의 그물’에서 현대과학의 중요한 문제들, 생명의 구조와 과정을 그물이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한다. 1978년 제임스 러브룩은 ‘지구상의 생명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에서 ‘가이아 이론’을 이야기했다.

이미지 확대
임성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코리아 대표
임성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코리아 대표
그리스 로마신화에 등장하는 가이아 신은 대지이자 지구 자체를 의미하며, ‘가이아 이론’에 의하면 지구를 하나의 유기체로 본다. 푸른 하늘을 만드는 대기, 넘실대는 파도가 사는 바다, 풀과 나무들은 지구라는 하나의 생명체를 이루는 구성원이다. 물론 인간도 그 속에 포함될 것이다. 그가 주장하는 것은 우리 모두는 관계망 속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인간에 의한 개발과 오염이 지구를 병들게 하고 있으며 그것은 인간이 지구와 잘못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관계를 설정하느냐, 어떤 관계를 만드느냐가 지구를 살릴 수도 죽일 수도 있다는 뜻이며 그건 사람도 마찬가지다.

웹상에서 이루어지는 인적 네트워크를 ‘소셜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이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사회적 망이다. 망은 그물이다. 카프라가 말한 ‘생명의 그물’이고 ‘가이아 이론’이 이야기하는 관계망이다. 그물은 날실과 씨실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날실과 씨실의 촘촘한 관계망에 놓여 있다. 관계망 속에서의 관계 맺음이 또한 우리가 이 사회를 살아가는 방법이다.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은 개인마다 다르다. 이 시대에 많은 사람들은 웹상에서 관계를 형성한다. 트위터가 그렇고 페이스북이 그렇다. 새로운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그 개념조차 이해하기 힘들어한다. 블로그와 메신저는 알겠는데, 트위터는 모르겠다고 말한다. 트위터도 이해가 힘든데 페이스북까지 등장했다. 시대는 변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도 달라졌다. 새가 한쪽 날개로 날 수 없듯 우리의 관계망 형성에도 균형이 필요하다.

지금 우리는 손끝에서 세상이 펼쳐지는 세계를 경험하고 있다. 터치 한번으로 우리는 관계망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런데 아이로니컬하게도 첨단 스마트폰을 움직이게 하는 건 손가락의 체온이다. 스마트폰이 반응하는 체온은 계량화된 수치에 불과할 것이다. 그러나 체온이 상징하는 것은 온기다. 우리는 살며 온기를 느낀다. 가슴 따뜻한 사연을 보고 온기를 느끼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온기를 느낀다. 서로에게 우산이 되어 주고, 서로에게 그늘이 되어 주고, 서로에게 따뜻한 버팀목이 되어 주는 것이 온기다. 체온이 떨어지면 사람이 살 수 없듯 온기가 없는 사회는 유지될 수 없다.

만약 관계의 형성이 모두 웹상에서만 이루어진다면 그건 마치 우리가 느껴야 할 온기가 스마트폰이 인식하는 수치화된 체온으로 한정되는 것과 같을 것이다. 물론 우리는 웹상에서 이루어지는 많은 감동적인 이야기들을 알고 있다. 서로의 안부를 묻고 같이 슬퍼하고 같이 기뻐하고 의견을 나눈다. 그런데 만나 조근조근 이야기하며 부대끼고 손을 잡고 잔을 부딪치는 아날로그적 온기가 그리워진다.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는 촌스럽게 느껴진다. 그런데 촌스러운 것이 때로는 더 큰 의미로 다가온다. 휴대전화가 없었을 때, 하염없이 연인을 기다렸던 설렘, 신문과 책을 펼치고 찬찬히 읽어 가던 느림의 미학, 편리한 것과 행복한 것은 같지 않다. 생각해 보면 디지털이나 아날로그나 사람이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은 같다. 같은 가치를 어떻게 구현하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나는 관계를 맺는 도리를 공자의 논어에서 찾아 본다. ‘입즉효 출즉제 근이신 범애중 이친인’(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 들어와 효도하고 나가 공손하며 삼가고, 미덥게 하고 널리 사랑하며, 어짐과 친하라는 뜻이다. 이 말속에는 가정에서 사회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 모두 들어 있다. 그런 마음이라면 어떤 관계도 훌륭해질 것이다. 그러나 가끔 웹상을 벗어나 내 곁의 사람과 진심으로 만나기를 권해 본다. 오늘은 웹상에서 나누던 대화를 얼굴 마주 보고 커피 한잔해도 좋으리라.
2010-12-20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