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도시/정서린 경제부 기자

[女談餘談] 도시/정서린 경제부 기자

입력 2010-12-18 00:00
업데이트 2010-12-18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얼마 전 출장길에 3년간 동행했던 여권을 들춰봤다.

그간 내가 다녀왔던 도시의 이름들이 색색의 출입국 도장 속에 고스란히 봉인돼 있었다. 뉴욕, 리스본, 에든버러, 하노이, 홍콩 등 저마다 다른 습도와 촉감, 냄새를 지닌 도시의 풍경들이 새삼 펼쳐졌다.

이미지 확대
정서린 경제부 기자
정서린 경제부 기자
대부분의 도시는 ‘1년쯤 여기서 살아봐도 좋겠다.’는 소망을 갖게 했다. 생애의 1년을 바쳐도 좋을 만한 도시의 매력이란 무엇일까.

두서없이 꼽자면 우선 걷기 좋은 도시였다. 번듯한 도심이 아닌 동네의 작은 거리에서도 먹고 쉴 곳이 있고 한번쯤 시선을 주고 둘러볼 만한 ‘콘텐츠’가 곳곳에 박혀 있는 곳 정도로 해두자. 사람과 거리와 건축물이 서로 쓰임새 있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주는 곳이다.

또 낡은 것은 낡은 것대로 존재감을 뿜어내고, 새것은 또 그것대로 색다른 아이디어로 쌓아올린 건축물들의 다양성을 들 수 있다.

거리의 퍼포먼스를 즐기며 활보하는 관광객과 이들을 꾀는 상권 모두 생기가 넘치던 바르셀로나 람블라스 거리에서는 휴식도, 안전도, 시민들의 회합도 보장되지 않는 광화문광장의 부조리함이 대비됐다.

한밤중 불 꺼진 무명 예술가들의 작업실을 들여다보는 재미가 쏠쏠했던 밴쿠버 그랜빌 아일랜드에서는 다국적 커피점에 점령당한 홍대 거리의 부박함이 아쉬웠다.

그럴 때면 도시계획에 대해 조금의 지식도 없는 나조차 계획 입안자들의 뇌 구조를 탓하곤 했었다. 그런데 최근 읽은 한 책의 저자는 이런 내 생각을 간단히 뒤집어 놓았다.

‘도시는 전문가가 만들고 나는 살고 있을 뿐이다.’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라는 것이었다. 그는 “어떤 길을 걷느냐, 어떤 일을 하느냐, 어떤 물건을 사느냐, 무엇을 먹느냐, 어떻게 노느냐, 이 모든 것이 도시를 만드는 행위”라고 했다.

결국 내가 이 도시를 오가며 어지럽게 그렸던 동선과 사들인 물건, 먹고 마신 음식, 쓰고 버린 장치들이 이 도시를 만드는 데 일조했다고 생각해 보니 나 역시 별반 할 말이 없는 ‘도시인’이었다.

rin@seoul.co.kr
2010-12-18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