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일촌’보다 어려운 ‘이웃사촌’/박상숙 산업부 기자

[女談餘談] ‘일촌’보다 어려운 ‘이웃사촌’/박상숙 산업부 기자

입력 2010-10-09 00:00
업데이트 2010-10-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며칠 전 늦은 저녁 골목길 끝 한편에 있는 문방구 앞에서 아이의 학교준비물을 사려고 걸음을 멈췄다. 뒤에 있던 자동차가 곁을 지나는데 운전석에 앉아 있는 여성의 도끼눈이 나를 찔렀다.

이미지 확대
박상숙 산업부 차장급
박상숙 산업부 차장급
불쾌한 감정보다 ‘뭐 때문에 저러지’ 하는 궁금증이 먼저였다. 차도도 아니고 사람이 먼저인 골목길에서 앞에서 얼쩡거리는 우리를 참을 수 없어서 그랬다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정 급한 일이 있어서 단 몇 초도 못 참겠거든 얼마든지 좋은 말로 했으면 됐을 것이다.

요즘 가장 많이 듣는 용어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다. 어디서나 소통을 외치는 시대답게 물리적 거리가 얼마가 되든 사람들을 손쉽고 간편하게 연결해주는 도구들 천지다. 미국에서 유학할 때 외로움에 몸서리치며 200만원에 이르는 국제전화비를 물었던 한 지인은 인터넷 전화의 출현에 탄복했었다. 페이스북으로 국경을 훌쩍 넘어 외지의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소셜 쇼핑 사이트에 들어가 일면식도 없는 타인과 같은 마음으로 오늘의 딜이 성공되기를 간절히 바라며 공동구매를 한다.

거리나 친분에 관계 없이 사람 사이에 다리를 놓아주는 신종 도구들의 출현은 놀랍지만 정작 이것들이 오히려 곁에 있는 사람과 친밀한 관계맺기에 방해가 되는 건 아닌지 염려스럽다. 미국의 한 조사에서도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출현이 온라인에서의 친밀도를 높인 반면 오프라인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얼마 전 모임에서다. 나를 포함해 참석한 사람들은 열띤 수다를 떨다가도 수시로 스마트폰을 확인했다. ‘카카오톡’으로 눈앞에 없는 이와 대화를 나누고, 트위터에 글을 올리고 댓글을 다느라 부산했다. 대화가 끊기는 건 다반사였지만 모두들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나도 어느새 지금 바로 내 곁에 있는 사람들에게 한번쯤 소홀해지는 걸 당연하게 여기게 된 듯하다. 사소한 일로 나에게 눈을 부라렸던 저 여성 운전자도 멀리 있는 누군가와는 살뜰한 대화를 나눌지도 모른다. 가상공간에서는 조금만 친해져도 ‘일촌’을 맺는데 왜 현실에서 ‘이웃사촌’이 되는 건 이리도 어려울까.

alex@seoul.co.kr
2010-10-09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