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카바이러스 일본 확산에 콘돔회사 상한가 왜?

지카바이러스 일본 확산에 콘돔회사 상한가 왜?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6-02-26 17:12
업데이트 2016-02-26 17: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동안 잠잠했던 지카 바이러스 테마주가 일본에서 감염자가 확인됐다는 소식에 상한가로 치솟는 등 강세를 보였다. ‘개미’들의 도박성 투기가 동반될 수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콘돔 제조업체인 유니더스는 26일 코스닥시장에서 전날보다 가격제한폭까지 오르며 1만 1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모기 기피제를 판매하는 명문제약은 코스피시장에서 전날보다 20.53% 올라 4755원에 마감됐다. 지카 바이러스가 모기와 성관계를 매개로 전염된다는 보도가 나온 뒤 이들 회사의 주식은 테마주로 엮어 움직이고 있다.

 관련 백신을 개발 중이라고 밝힌 진원생명과학은 6.14% 오른 1만 4700원에, 뇌염백신 원료를 생산하는 오리엔트바이오는 3.87% 오른 1475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일본 후생노동성은 지난 9~20일 가족과 함께 브라질 관광을 다녀온 자국 10대 남성이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중남미를 중심으로 지카 바이러스가 유행한 이후 일본에서 감염자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브라질 보건 당국은 지카 바이러스 사태가 전국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지카 바이러스와 이들 테마주 사이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보기 어려워 주가 급등이 ‘폭탄 돌리기’로 끝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명문제약의 모기 퇴치제 비중은 사업보고서에 비중이 표시되지 않을 정도로 미미하다. 진원생명과학은 지난해 하반기에야 백신 개발을 시작해 실제 생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알려졌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