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증권 누구 품에?… 5∼6곳 의향서 제출

현대증권 누구 품에?… 5∼6곳 의향서 제출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6-02-26 15:43
업데이트 2016-02-26 15: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금융·KB금융 격돌…LK투자 등 PEF 3∼4곳도 가세

 

이미지 확대
현대그룹
현대그룹 서울 연지동 현대그룹 사옥에서 점심식사를 마친 직원들이 사무실로 향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현대증권 인수전이 뜨거워지고 있다. 국내 금융지주사 2곳에 이어 국내외 사모펀드(PEF)들이 가세하면서 5∼6파전 양상을 띠게 됐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대증권 매각 자문사인 EY한영 회계법인은 이날 오후 3시 현대증권 인수의향서(LOI) 접수를 마감했다.
 
 한국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가 지난 12일 의향서를 제출하고 일찌감치 실사에 돌입한 가운데 신생 PEF인 LK투자파트너스도 출사표를 던진 것으로 확인됐다.
 
 LK투자파트너스는 외국계 SI(전략적 투자자)와의 컨소시엄 구성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국내 PEF와 외국계 PEF 등 2∼3곳도 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금융회사 매물에 관심을 보여온 중국 푸싱그룹과 안방보험은 막판까지 의향서 제출을 두고 고민하다가 포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막판까지 고심하는 후보들이 있어 상황을 계속 지켜봐야 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애초 키움증권,메리츠종금증권과 같은 국내 중소형 증권사와 지방 금융 지주사 등도 현대증권 인수를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결국 참여하지 않는 쪽으로 결론을 내렸다.
 
 대우증권 매각이 마무리돼 대형 증권사가 매물로 나오기 어려운 상황인데다 5천억∼7천억원 규모로 비교적 자금 부담이 적다는 점도 이번 매각건의 매력을 키운 요인으로 평가된다.
 
 매각의 걸림돌로 평가되던 현대엘리베이터가 보유한 현대증권 우선매수청구권 행사 조건이 완화된 점도 흥행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EY한영 회계법인과 현대그룹은 빠른 매각 일정 탓에 실사 기간이 충분하지 않다는 인수 후보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실사 마감일을 애초 다음 달 11일에서 18일로 연기한 상태다.
 
 이에 따라 다음 달 20일 전후로 진행될 예정이던 본입찰도 24일 전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현대그룹은 다만 자금 조달과 자구안 이행 등을 고려해 당초 계획대로 다음 달 말까지는 현대증권 매각을 완료한다는 입장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