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덤핑 과세에 한국 태양광주 ‘반사이익’

중국 반덤핑 과세에 한국 태양광주 ‘반사이익’

입력 2013-07-19 00:00
업데이트 2013-07-19 1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의 차별적인 폴리실리콘 반덤핑 과세 결정에 국내 태양광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전날 한국과 미국산 태양전지급(solar-grade) 폴리실리콘 제품에 대해 24일부터 일시적인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산 수입 제품에는 2.4∼48.7%, 미국산 제품에는 53.3∼57%의 관세가 각각 적용된다.

하지만 증시 전문가들은 한국 기업에 적용된 관세는 사실상 미미한 수준이라며 이번 결정을 큰 호재로 보고 있다.

리뉴어블에너지코퍼레이션(REC)의 미국 내 자회사에 57%의 관세가 적용되는 등 미국 기업들이 최소 50% 이상의 반덤핑 관세를 물게 되는 반면 한국 태양광 대표기업인 OCI는 2.4%로 가장 낮은 관세를 적용받았기 때문이다.

민경혁 키움증권 연구원은 1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한국 기업은) 생각보다 관세가 낮게 나오면서 불확실성이 해소돼 호재”라며 “반대로 미국은 고율의 관세가 부과돼 미국 쪽 수요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그는 “국내 기업들도 한국실리콘 2.8%, KCC 48.7% 등 차별적 과세가 이뤄지긴 했지만 (폴리실리콘 생산라인을) 가동 중인 곳은 OCI가 거의 유일하고 나머지는 가동률이 매우 낮은 상황이라 영향이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김 위 우리투자증권 연구원도 “OCI에 대한 관세율은 2.4%로 예상치를 크게 밑돌아 불확실성이 해소됐고 정상가동 중인 경쟁사 헴록(Hemlock)(53.3%)과 REC(57%)에 비해 매우 낮아 반사이익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올해 1∼5월 기준으로 중국 내 한국 및 미국산 폴리실리콘 비중은 각각 23.7%와 33.5%이다.

김 연구원은 “이에 따라 OCI의 내년도 영업이익과 주당순이익(EPS)을 27.5%와 31.6%씩 높였다”면서 “투자의견은 ‘매수’로, 목표주가는 15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분석에 국내 태양광주들은 일제히 급등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OCI는 오전 10시 14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8.52% 높은 16만5천500원에 거래됐다. OCI는 장중 한때 17만5천원까지 올라 상한가에 육박했으나 이후 상승 폭이 완화됐다.

넥솔론(14.66%), 오성엘에스티(11.65%), 신성솔라에너지(6.67%), 한화케미칼(3.50%) 등도 상승세다. KCC는 0.61% 오르는데 그쳤다.

다만 태양광주의 장기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평가다.

민 연구원은 “이번 결정으로 반덤핑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됐고, 하반기 폴리실리콘 가격도 반등해 실적개선이 예상되나 장기적으로는 이전만큼의 고수익을 달성하기 힘들다”고 진단했다.

그는 “상황이 나아지고 있긴 하지만 태양광 산업은 여전히 공급과잉이 심해 정상화까지 1∼2년가량 소요될 것”이라면서 “내년도 글로벌 태양광 시장의 규모가 40기가와트(GW)에 도달하면 소폭 흑자 전환이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