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체감지수 1800…속앓이 ‘끙끙’

개인 체감지수 1800…속앓이 ‘끙끙’

입력 2010-12-14 00:00
업데이트 2010-12-14 1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스피지수가 2,000선을 돌파했지만 개인들의 체감 지수는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수가 올해 초보다 20% 가까이 올랐지만 개인들이 사들인 종목의 수익률은 지수 상승률에 훨씬 못미치기 때문이다.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지수는 2,000이라는데 체감지수는 1,800’이라는 자조 섞인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초부터 지난 13일까지 743개(보통주 기준.신규상장·상장폐지종목 제외)의 전체 유가증권시장 상장 종목 가운데 지수 대비 초과 수익률을 낸 종목은 257개에 불과하다.10개 종목당 6.5개는 시장 수익률을 따라가지 못한 것이다.

 특히 시가총액 상위 종목 위주로 급등하면서 실제 지수와 개인들이 실제 느끼는 지수 사이에 괴리감이 크다.시가총액 상위 100개 종목의 수익률은 32.61%로 지수보다 1.5배 이상 높다.

 개인들이 주로 투자하는 코스닥지수가 1년 새 제자리걸음인 것도 이러한 박탈감을 심화시키고 있다.

 실제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외국인,개인이 올 한해 순매수한 상위 20개 종목의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기관과 외국인의 수익률은 각각 49.86%와 44.59%에 달하는 반면 개인은 -4.83%로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개인이 올해 가장 많이 산 POSCO가 23.06% 급락한 것을 비롯해 한국전력(순매수 5위,-14.08%),외환은행(8위,-20%),대한전선(11위,-54.78%),LG생명과학(17위,-22.42%),NHN(20위,-58%) 등 매수 상위 종목들이 줄줄이 하락했다.

 이는 코스닥시장에서도 마찬가지다.코스닥지수가 제자리걸음이라고 하지만 기관과 개인은 각각 59.87%와 22.74%의 수익률을 올렸다.그러나 개인 수익률은 코스닥에서도 마이너스(-10.69%)다.

 우리투자증권의 이경민 연구원은 “지수가 대형주 중심,그중에서도 핵심 소수 종목 위주로 오르면서 기관.외국인 대 개인의 괴리율이 더 커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섣불리 갈아타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기관과 외국인 주도로 일부 업종 및 종목 위주로 매수세가 몰리며 상승하는 국면에서는 개인이 뒤늦게 편승해 성공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시장 주도력이 외국인과 기관에 있기 때문에 개인이 이 틈바구니에서 성공하기는 쉽지 않다”며 “실적 대비 저평가 종목을 꾸준히 사들이고 중장기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 대응하는 편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