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용 성장’ 정책의 효과? 월급쟁이 연봉差 줄었다

‘포용 성장’ 정책의 효과? 월급쟁이 연봉差 줄었다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0-03-16 23:16
업데이트 2020-03-17 0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위 0.1% 총급여는 2.41% 줄고 하위 30% 근로소득 15% 늘어

우리나라 근로소득자들의 연봉이 전체적으로 늘고 상하위 구간별 연봉 격차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임금 인상을 포함해 포용성장 정책에 따른 중하위층 소득 개선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정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세청에서 받은 ‘2018 귀속연도 근로소득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년 근로소득자 1858만명의 전체 근로소득은 677조 4886억원으로 전년 대비 6.93% 늘었다.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최상위 0.1% 이내에 속하는 봉급생활자 1만 8577명의 2018년 총급여는 14조 2103억원으로 전년 대비 2.41% 감소했다. 2017년(19.91%)의 대폭 증가에서 감소로 돌아선 것이다. 이들의 1인당 근로소득은 7억 6494만원으로 전년 대비 5.41% 줄었다. 상위 1% 이내에 속하는 18만 5778명의 근로소득(총 49조 5256억원) 역시 2017년에는 전년 대비 증가율이 9.98%였으나 2018년에는 4.12%로 증가세가 둔화됐다. 1% 이내 구간의 1인당 근로소득은 2억 6658만원으로 전년보다 0.9% 올랐다.

반면 중간 구간에 해당하는 상위 49~50%(18만 5779명)의 소득은 5조 204억원(1인당 2702만원)으로 8.41% 증가했다.

상대 저소득층인 69~70%의 근로소득은 15.13% 상승했다. 최상위층 이외 계층의 근로소득이 더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소득집중도가 완화된 모습이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0-03-17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