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한은 “디플레이션 우려할 상황 아니다”

정부·한은 “디플레이션 우려할 상황 아니다”

입력 2019-09-03 09:41
업데이트 2019-09-03 09: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확실성 높은 상황이어서 저물가 장기화 땐 경제활력 추가 저하 우려”

이미지 확대
발언하는 김용범 기재차관
발언하는 김용범 기재차관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3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정책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9.9.3 연합뉴스
정부와 한국은행은 3일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사실상 마이너스로 나타난 것을 두고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이 아니라고 밝혔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거시정책협의회를 열고 “한국의 저물가는 수요 측보다는 공급 측 요인에 상당 부분 기인한 것으로 디플레이션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0.0%였지만, 소수점 둘째 자릿수까지 보면 0.04% 하락해 1965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첫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김 차관은 “글로벌 경기 둔화,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 우려 등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므로 저물가 흐름이 장기화할 경우 경제활력을 추가로 저하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크게 하락한 주요 원인이 농산물과 국제유가 가격 하락에 있다고 설명했다. 작년 8월에는 폭염 영향으로 농축산물 가격이 4.6% 상승했으나 올해 8월에는 괜찮은 날씨에 7.3% 하락했고, 배럴당 73달러였던 국제유가도 올해 59달러까지 내렸다.

김 차관은 또 “정책적 요인도 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데 영향을 미쳤다”며 “유류세 인하와 건강보험 적용 확대, 무상급식 등 복지정책도 물가 상승률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일각에서는 세계 경제가 70∼8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90년대 대 완화기(Great Moderation)를 거쳐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저물가 흐름을 보이고, 수요둔화로 저물가가 나타난다는 우려와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제기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근원물가는 1% 내외에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한국은 디플레이션 상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또 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기저효과 영향에 0% 내외에서 머물겠으나 기저효과가 줄어드는 연말부터는 0% 중후반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윤면식 한은 부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내년 이후에는 1%대로 높아질 것”이라며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저인플레이션이 공통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경기 순환적 요인만 아니라 글로벌화, 기술진보 등 구조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는 견해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공급사슬 확대, 전자상거래 활성화, 저임금 노동 공급 증가에 따른 임금 상승 둔화를 물가 상승을 끌어내리는 구조적인 배경으로 짚었다.

윤 부총재는 “한국은 정보통신기술 보급과 온라인거래 확산 정도가 빠르고, 인구 고령화도 급속히 진행돼 구조적인 요인의 영향을 더 크게 받고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억원 기재부 경제정책국장과 이환석 한은 조사국장 등도 참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