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공항 확장되면 90% 달라진 사실상 신공항 될 것”

“김해공항 확장되면 90% 달라진 사실상 신공항 될 것”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6-06-21 22:52
업데이트 2016-06-21 23: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슈발리에 수석엔지니어·서훈택 국토부 정책실장 문답

장마리 슈발리에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 수석엔지니어는 21일 “확장된 김해공항은 활주로, 터미널, 관제탑, 연결도로와 철도가 새롭게 건설되기 때문에 90%가 달라진 사실상 신공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결과에 대해 “전문성에 기초한 최적의 결론”이라며 “올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내년에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김해공항 확장을 위한 후속 절차를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서훈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슈발리에 수석과의 일문일답.

→김해공항 확장으로 ‘영남권 신공항’ 문제는 종지부를 찍는 것인가.

-(서훈택 실장) 현재의 항공 수요와 잠재 수요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김해 신공항이 추진된다면 영남권 공항 문제는 더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본다.

→김해공항 확장안에 대해 국토부와 부산·대구·울산·경남·경북 등 지자체가 협의를 마쳤나.

-(서 실장) 어제(20일) 오전에 ADPi 관계자들이 국내에 입국하고 결과를 받았기 때문에 아직 (지자체와) 충분한 협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앞으로 협의를 진행해 나가도록 하겠다.

→김해공항에 대해 그간 안전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는데.

-(슈발리에 수석) 김해공항에 대해 남풍이 불 때 북쪽에서 착륙하는 부분에 대해 안전성 문제가 제기된다는 점을 알고 있다. 그래서 김해공항 확장 방법으로 기존 활주로 서쪽에 40도 방향으로 새로운 활주로를 건설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새로운 활주로에 비행기가 잘못 접근하는 문제만 제외하면 김해공항의 안전 문제가 해소된다.

→김해공항이 24시간 운영되기 어렵다는 점과 확장 시 주변 소음피해 등에 대한 대책은 마련됐나.

-(서 실장) 활주로를 신규 건설해도 새롭게 소음 피해를 입게 되는 가구는 1000가구 미만으로 파악된다. 주민을 지속해서 설득하겠다. 중국 베이징공항이나 일본 나리타공항, 영국 히스로공항 등 세계 유수의 허브 공항도 24시간 운영이 되지는 않는다. 김해공항을 확장하면 24시간 운영 없이도 영남권 항공 수요를 처리할 수 있다고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김해공항의 추가 활주로 길이는 3200m인데 대형 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한가.

-(서 실장) 세계 최대 항공기인 ‘에어버스 380’도 이착륙에 필요한 활주 거리는 3050m여서 충분히 가능하다. 취항 가능성이 별로 없는 1~2개 화물기종만 제외하면 모든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과 비교하면 어떠한가.

-(서 실장) 김해 신공항의 완성시기는 앞으로 10년 후다. 김해공항 확장이 완료되면 현재 197만㎡인 공항의 넓이가 270만㎡가 된다. 인천국제공항은 660만㎡다. 확장된 김해공항의 이용객 수용능력은 약 4000만명으로 인천공항(5000만명)보다는 조금 적은 수준이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6-06-22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