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기업 영업익 9년만에 최대 감소… 부동산업만 ‘호황’

작년 기업 영업익 9년만에 최대 감소… 부동산업만 ‘호황’

나상현 기자
입력 2020-12-14 22:14
업데이트 2020-12-15 04: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중 분쟁·반도체값 하락에 22.7% ‘뚝’
제조업 40% 줄고 부동산업 40% 늘어

이미지 확대
지난해 국내 기업 전체 영업이익이 22.7% 줄어 9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다만 부동산업은 이 와중에도 ‘나홀로 호황’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영리법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영리법인은 모두 75만 2675개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다. 영리법인은 의료·학교 등 비영리 성격 법인을 제외한 기업을 의미한다. 대부분 산업에서 기업 수가 늘었고, 특히 부동산업은 5만 3324개에서 6만 2144개로 16.5% 늘면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전체 종사자 수와 매출액은 각각 1.1%, 1.9%씩 늘었다.

그러나 외형만 커졌을 뿐 기업의 실제 실적이라 할 수 있는 영업이익은 크게 줄었다. 지난해 기업들의 총영업이익은 219조 8390억원으로 전년 대비 22.7% 감소했다. 2년 연속 감소했으며 201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 폭 감소다.

통계청은 총영업이익에서 가장 많은 비중(38.3%)을 차지하는 제조업이 약세를 보인 탓으로 분석했다. 제조업 영업이익은 84조 2740억원으로 전년 대비 40.1%나 줄었다. 역대 최대 감소 폭이다. 김진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지난해 미중 무역분쟁 등에 따른 글로벌 교역 둔화, 반도체 가격 하락, 유가 하락 때문에 영업이익이 줄었다”고 밝혔다. 이 밖에 금융보험업(-25.7%)과 건설업(-6.5%) 등도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반면 부동산업은 높은 실적을 냈다. 부동산업 관련 기업의 영업이익은 10조 6230억원에서 14조 9340억원으로 40.6% 증가했다. 이 외에 광업(78.2%), 전문과학기술업(66.0%), 숙박음식업(50.3%) 등도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이들 산업이 전체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1~2.3% 수준이다. 김 과장은 “2018년 부동산업 영업이익이 22.9% 줄어든 만큼 이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0-12-15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