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고객 보호’… 품질비용 3조원 긴급 반영

현대·기아차 ‘고객 보호’… 품질비용 3조원 긴급 반영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0-10-19 21:06
업데이트 2020-10-28 2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역대 최고… 시장·고객 우려 선제 대응
대부분 ‘세타2 엔진’ 리콜 관련 충당금
투자자 대상 설명회 열고 이례적 발표
현대차 3분기 영업이익 10년 만에 적자

이미지 확대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현대·기아자동차가 3조 3600억원의 엔진 품질 비용을 올해 3분기 실적에 반영한다. 지난 14일 취임한 정의선 회장의 ‘품질 우선주의’ 방침으로 품질 비용으로 역대 최고액이다. 현대차는 2010년 그룹 출범 이후 분기 실적 첫 적자 전환이 불가피하다. 이번 품질 비용이 정의선 체제로 새롭게 출발한 현대·기아차가 그동안 고질병처럼 여겨졌던 품질 논란을 떨쳐 내는 ‘쓴 약’이 될지 주목된다.

현대·기아차는 19일 현대차 2조 1000억원, 기아차 1조 2600억원의 엔진 품질 개선 비용을 이달 26일쯤 발표할 3분기 실적에 충당금으로 반영한다고 공시했다. 이와 관련해 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투자자 설명회도 개최했다.

현대차가 품질 비용을 분기 실적에 반영한다는 사실을 미리 공시한 것은 실적 하락에 따른 시장 충격을 완화하려는 조치다. 이 비용을 실적에 포함하면 전체 실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를 실적 발표일에 깜짝 공개하면 주주와 투자자 반발이 클 수밖에 없다.

품질 비용은 대부분 ‘세타2 GDi’ 엔진 리콜 관련 충당금이다. 2009년 개발한 세타2 GDi 엔진은 엔진 떨림과 시동 꺼짐 등 결함이 발생해 대규모 리콜이 이뤄졌다. 적용 모델은 현대차 쏘나타, 투싼, 싼타페, 기아차 K3, K5, 쏘렌토, 스포티지 등이다. 현대·기아차는 국내외에서 진행된 집단 소송을 통해 미국과 국내 고객에게 평생 보증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현대·기아차는 이 세타2 엔진 리콜 관련 충당금을 2018년 3분기 실적에 4600억원(현대차 3000억원, 기아차 1600억원), 지난해 3분기 실적에 9200억원(현대차 6100억원, 기아차 3100억원)씩 두 차례 반영했다. 하지만 지난해 충당금 반영 이후에도 엔진 교환 사례가 줄지 않았고, 평생보증 충당금을 산정할 때 반영한 차량 운행 기간을 다시 산정하면서 올해에도 거액의 충당금 반영이 불가피해졌다.

이번 품질비용으로 당초 1조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됐던 현대차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한다. 현대차에는 그룹 출범 이후 10년 만의 첫 분기 적자다. 기아차는 2017년 3분기에 1조원의 통상임금 충당금이 실적에 반영돼 적자 전환한 적이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고객과 시장의 우려에 대해 투명하게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면서 “앞으로 품질 비용 이슈가 재발하지 않도록 차량 개발부터 생산, 판매 이후까지 철저하게 품질을 관리하고 비용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20-10-20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