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짜라지만 국민 메신저 ‘광고판’ 되나

알짜라지만 국민 메신저 ‘광고판’ 되나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0-06-14 20:22
업데이트 2020-06-15 0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네이버도 카카오도 검색광고 확대 추진

네이버와 카카오가 알짜 수익원인 검색광고 확대에 나선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이르면 오는 3분기부터 카카오톡의 친구·채팅·샵(#)·더보기 탭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면 광고주의 채널이 상단에 노출되는 ‘브랜드검색광고’를 도입할 예정이다. 현재도 해당 탭에서 키워드를 검색하면 광고주 채널이 뜬다. 브랜드검색광고는 해당 브랜드 채널을 검색 결과 가운데 상단에 올리거나 중간에 영상을 넣는 식으로 카카오톡과 계약한 특정 브랜드를 이용자들 눈에 더 띄게 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카톡, 키워드 검색 땐 광고채널 상단 노출

카카오 관계자는 “브랜드검색광고 도입을 추진하는 것은 맞지만 언제, 어떤 방식으로 카카오톡에 구현할지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고 밝혔다. 월간 활성 이용자수가 4519만명(1분기 기준)인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활용할 수 있다는 건 광고주들에겐 매력적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카카오가 이미 지난해 카카오톡 채팅 탭 상단에 노출되는 ‘톡 비즈보드’(톡보드)를 선보인 데 이어 추가 광고 게재에 나서면서 이용자들의 광고 피로감, 사용 거부감이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업계 “검색 관련, 무차별 광고 안 뜰 것”

이에 대해 카카오 관계자는 “이용자가 자신의 의지로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를 검색했을 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카카오톡에 무차별적으로 광고가 뜰 것이라는 우려와는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도 쇼핑 검색광고 2배로 확대 검토

네이버도 쇼핑 검색광고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쇼핑 검색광고는 PC나 모바일에서 이용자가 상품명을 검색하면 광고주 상품이 일반 상품 검색 결과보다 상단에 뜨는 광고로 현재는 4~8개 정도다. 네이버는 15일부터 22일까지 이를 6~12개로 늘리는 테스트를 실시한다. 광고 개수를 늘리면 좋겠다는 광고주들의 요구와 광고 효과 등을 고려한 조치로 일주일간의 테스트를 통해 이용자, 광고주의 반응을 보고 도입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이용자들의 불편을 초래하거나 검색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등 서비스 품질에 영향이 있다면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게 회사 측 입장이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20-06-15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