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기업 35%,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았다

작년 기업 35%,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았다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9-11-05 23:28
업데이트 2019-11-06 02: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출 부진에 매출액 증가율 ‘반토막’

적자기업 29.5%… 전년보다 1.9%P↑

지난해 국내 기업의 35%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수출 둔화 등의 여파로 국내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반 토막 났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비(非)금융 영리법인 기업 중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비중은 35.2%로 집계됐다. 1년 전 32.3%보다 2.9% 포인트 상승했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이 비율이 100% 미만이면 돈을 벌어 이자도 감당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아예 적자를 내는 이자보상비율 0% 미만 기업도 29.5%로 전년(27.6%)보다 1.9% 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국내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4.0%로 전년(9.2%)보다 5.2% 포인트 하락했다. 그만큼 기업들의 성장성이 약화됐다는 얘기다. 대기업이 7.9%에서 2.7%로, 중소기업이 11%에서 5.9%로 떨어졌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9.0%에서 4.0%로 크게 둔화했다. 반도체 수출 둔화로 반도체와 휴대전화,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영상·통신장비의 매출액 증가율이 20.4%에서 3.4%로 주저앉은 게 영향을 미쳤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3분기 말부터 전자·영상·통신장비의 수출 부진이 나타난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기업들의 수익성도 축소됐다. 기업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액을 나타내는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5.6%로 전년(6.1%)보다 하락했다. 기업들이 물건 1000원어치를 팔아 세금을 빼고 거둬들인 이익이 61원에서 56원으로 줄었다는 얘기다.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는 다소 개선됐다. 지난해 기업 부채비율은 111.1%로 전년(114.1%)보다 하락했다. 다만 차입금 의존도는 28.8%로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한은이 이날 발표한 기업경영분석은 상장사, 외부 감사 대상 기업을 비롯해 실적 공개 의무가 없는 비외부 감사 대상 기업 등 국내 비금융 영리법인 기업 69만 2726곳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9-11-06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