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5G 스마트팩토리 상품 3분기 출시

KT, 5G 스마트팩토리 상품 3분기 출시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9-05-30 17:42
업데이트 2019-05-31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중공업지주·코그넥스 등과 협업

표준화된 ‘UI’, 공장 장비와 신속 연결
실시간 장애원인 분석·원격 복구 장점
이미지 확대
KT 모델들이 5G 스마트팩토리 상품을 보여 주는 미니 제조 공정라인에서 스마트패드를 통해 공장 내 상황을 확인하는 모습을 시연하고 있다. KT 제공
KT 모델들이 5G 스마트팩토리 상품을 보여 주는 미니 제조 공정라인에서 스마트패드를 통해 공장 내 상황을 확인하는 모습을 시연하고 있다.
KT 제공
KT가 대표적 기업 상대 5G 서비스인 스마트팩토리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KT는 30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스마트팩토리 분야 기업과 협업해 협동로봇과 머신비전, 자사 통합 관제 시스템인 ‘팩토리 메이커스’로 이뤄진 상품을 3분기에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협동로봇은 작업자와 한 공간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작동하는 로봇이며 머신비전은 기계나 컴퓨터가 인간의 눈처럼 사람 얼굴이나 문자, 이미지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팩토리메이커스는 협동로봇이나 머신비전이 포함된 스마트팩토리를 실시간 관리하는 솔루션으로 현재 사업장 세 곳에 시범 도입돼 있다. 이날 행사에는 스마트팩토리가 머신비전을 통해 부품 라벨과 외관 등을 검사하고 분석 결과 이상이 있으면 1초 이내에 부품을 격리하는 상황을 시연했다.

팩토리메이커스의 최대 장점은 표준화된 사용환경(UI)을 제공해 쉽고 빠르게 공장의 장비와 플랫폼을 연결할 수 있고 실시간 장애 원인 분석과 원격 복구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KT는 자사 ‘에지 클라우드’에 산업 데이터 저장·분석, 에지 컴퓨팅, 블록체인 기반의 강력한 링크 보안, 실시간 예측 분석 등 특화기능을 포함해 제조업 특화 에지 클라우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현대중공업지주, 머신비전업체 코그넥스 등 스마트팩토리 파트너사와의 공동 개발전략도 공개됐다. 현대중공업지주는 자사 로봇 관리 시스템인 HRMS에 5G 기술과 에지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코그넥스는 5G 에지 클라우드 기반 머신비전 플랫폼을 개발하고 도입 기업이 간단하게 머신비전을 설치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협력할 예정이다.

KT는 인공지능(AI) 서비스 기가지니 기술을 바탕으로 제조현장 장비의 소리를 분석해 장비의 유지·보수를 예측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제조공정에서 생성된 빅데이터를 분석해 공장 설비·장비의 고장과 사용기한을 예측하는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9-05-31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